? 머리말 : 회계 공부를 아무리 해도 제자리걸음인 건, 여러분 책임이 아니다!
? 프롤로그 : 회계에 ‘원론’과 ‘개론’이 없는 이유
Lesson 1. 자본과 부채가 결혼해 자산을 낳았다!
? 배추 농사를 지어도 회계는 필요하다
? 재무제표의 첫 변화, 비영업 자산(현금)이 영업 자산(기계설비)으로
? 순자산(자본)은 주주의 몫
Lesson 2. 모든 회계 처리를 움켜쥔 단 하나의 공식, 회계항등식
? 밥솥을 팔면 자산과 자본이 같이 느는 이유
? 비용 집행, 현금이건 외상이건 자본 감소는 똑같다
? 은행 돈 빌려 기계 사면 자산, 부채, 자본은 어떻게 될까?
Lesson 3.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한 몸
? 손익거래와 비손익거래 구별하기
? 결산한 손익이 향하는 그곳, ‘자본 내 이익잉여금’ 지갑
Lesson 4. 손익계산 1~2단계 : 매출총이익과 영업이익
? 수익은 벌어들인 돈, 이익은 남긴 돈
? 그림 하나로 깔끔하게 정리하는 손익 산출 과정
? 제조원가와 매출원가, 무엇이 다른가
? 손익계산 1단계 : 매출총이익 계산
? 손익계산 2단계 : 영업이익 계산
[결정적 회계 지식] 내 인건비는 제조원가일까, 판관비일까?
Lesson 5. 손익계산 3~4단계 : 세전이익과 당기순이익
? 로또 당첨과 영업 외 수익과 비용의 관계
? 마이클에게 빌린 1달러, 외환손실로 돌아오다
? 손익계산 3~4단계 : 세전이익에서 법인세비용 빼면 당기순이익
? 이익잉여금은 회사의 역사를 보여준다
[결정적 회계 지식] 당기순이익을 모으는 지갑, 이익잉여금
Lesson 6. 실전 분석 : 일곱 개 기업 손익계산서 파헤쳐보기
? 결산하면 털어내는 손익계산서, 누적하는 재무상태표
? 매출원가가 낮으면 영업이익률이 높을까?
? ‘기술 제일’ 삼성SDI, 판관비 절반이 연구개발비
[결정적 회계 지식] 메인 요리보다 훌륭한 밑반찬, 재무제표 주석
? 매출원가보다 판관비에 주목, 대원제약
? “최저가 입찰제 좀 바로잡아주오”, 현대로템이 호소하는 이유
? 호텔신라 면세점 수익성, 임차료가 좌우
[결정적 회계 지식] 로켓배송에 집중하자 매출 성장 착시 나타난 쿠팡
? 게임업체, 급여보다 많은 지급수수료의 정체
Lesson 7. 실전 재무상태표 파헤쳐보기
? 전 재산이 집 한 채인 김 차장의 재무상태표
? ‘유동’과 ‘비유동’을 나누는 결정적 시간, 1년
? LG화학, 유형자산이 수익의 원천
? 호텔신라 면세점 사업이 커지면 비중 높아지는 자산은?
? ‘착한 부채’가 많은 LG디스플레이
Lesson 8. 기계설비를 구매하면 비용 처리는 언제, 어떻게 할까? 감가상각의 원리
? 평생 가계부 써 온 엄마는 이해 못 할 기업 회계 장부
? 감가상각이 끝나면 효자 되는 기계설비
Lesson 9. 돈 값어치 못하는 기계에게 가차 없는 유형자산 손상 회계
? 본전도 뽑기 어려워진 강 부장의 자동차
? 손상차손은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할까?
? 감가상각에 눈물 흘린 인터플렉스
[결정적 회계 지식] 제조회사 유형자산 항목의 단골손님, ‘건설 중인 자산’
? 매출이 증가하고도 손상차손으로 휘청거린 한국철강
Lesson 10. 안 보여도 열 일하는 무형자산 회계 처리
? 거북표 광동제약, 솔표를 인수하다!
? 슉슉버거 상표권사용료, 재무제표에 반영해보기
? 솔표 상표권 비용 처리, 위청수 생산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이유
Lesson 11. 개발비, 비용이 아니라 자산이라고?
? 연구개발에 2조 5천억 원 쓴 현대차, 왜 1조 8천억 원만 비용 처리하나?
? 셀트리온과 한미약품 연구개발비 회계 처리의 차이점
? 금감원 경고에 제 발 저려 재무제표를 수정한 제넥신
? 개발해도 투자비조차 건질 수 없을 때 회계 처리 방법
Lesson 12. 미리 준 돈(선급금)은 자산, 미리 받은 돈(선수금)은 부채
? 호떡 장수와 밀가루 장수의 거래로 알아보는 선급금 자산과 선수금 부채
? 현금이 넘쳐나는 애플의 현금 소진법, 선급금
? 선수금의 매출 변신, 그림으로 보는 선수금 회계 처리
? 결혼정보업체 듀오, 만남 주선 약속하고 받은 돈은 부채
[결정적 회계 지식] ‘현금 부자’ 삼성전자는 단기차입금이 왜 이렇게 많을까?
Lesson 13. 좌우균형 등식으로 회계 원리 꿰뚫기
? 새는 좌우의 날개로 난다!
? 좌우균형 등식이 반드시 유지되는 까닭
Lesson 14. 통신사와 연예기획사에만 있는 무형자산은?
? SK텔레콤의 2조 1700억 원짜리 전리품
? 주파수 자산 회계로 ‘좌우균형 원리’ 꿰뚫기
? KT 못쓰게 된 주파수이용권, 재무제표에 어떻게 반영했나?
? 연예인 전속계약금은 기획사의 무형자산
? 전속계약금 비용 처리(상각), 매출원가일까, 판관비일까?
Lesson 15. “외상대금 못 받을 거 같아요”, 매출채권 손상
? 돈을 떼일 것 같으면 ‘대손충당금’과 ‘대손상각비’로
? 동네 슈퍼와 기업, 외상값 회계 처리 무엇이 다른가?
? 떼일 돈을 어떻게 추정하지?
? 떼일 줄 알았던 돈을 받았다면 재무제표에는 어떻게 기록할까?
Lesson 16. 누구에게 언제 얼마를 줄지 정확히 몰라도 빚, 충당부채
? 프러포즈할 때 한 약속은 부채일까, 아닐까?
? 사장님이 약속한 성과급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