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론 1 상부구조의 관념적인 ‘힘’ 2 ‘힘’에 패한 마르크스주의 3 교환양식에서 오는 ‘힘’ 4 자본제 경제 속의 ‘정신’의 활동 5 교환의 ‘힘’과 페티시(물신) 6 교환의 기원 7 페티시즘과 우상숭배 8 엥겔스의 『독일농민전쟁』과 사회주의의 과학 9 교환과 ‘교통’ 제1부 교환에서 오는 ‘힘’ 예비적 고찰—힘이란 무엇인가? 1 낯선 사람끼리의 교환 2 자연의 원격적인 ‘힘’ 3 ‘보이지 않는 손’과 진화론 4 화폐의 ‘힘’ 5 정주화와 교환의 문제 6 공동체의 확장과 교환양식 제1장 교환양식A와 힘 1 증여의 힘 2 모스의 시점 3 원시적 유동민과 정주화 4 토테미즘과 교환 5 후기프로이트 6 공동체의 초자아 7 반복강박적인 ‘힘’ 제2장 교환양식B와 힘 1 홉스의 계약 2 상품들의 ‘사회계약’ 3 수장제사회 4 원시사회 단계와 교환양식 5 수장이 왕이 될 때 6 카리스마적 지배 7 역사의 ‘자연실험’ 8 신민과 관료제 9 국가를 초래하는 ‘힘’ 제3장 교환양식C와 힘 1 화폐와 국가 2 원격지 교역 3 제국의 ‘힘’ 4 제국의 법 5 세계제국과 초월적인 신 6 교환양식과 신 관념 7 세계종교와 보편종교 제4장 교환양식D와 힘 1 원유동성으로의 회귀 2 보편종교적인 운동과 예언자 3 조로아스터 4 모세 5 이스라엘의 예언자 6 예수 7 소크라테스 8 중국의 제자백가 9 붓다 제2부 세계사의 구조와 ‘힘’ 제1장 그리스 로마(고전고대) 1 그리스예술의 모범성과 회귀하는 ‘힘’ 2 아주변인 그리스의 ‘미개성’ 3 그리스의 ‘씨족사회의 민주주의’ 4 기독교의 국교화와 『신의 나라神國』 5 비참한 역사과정의 마지막 도래 제2장 봉건제(게르만) 1 아시아적 또는 고대고전적 공동체와의 차이 2 게르만사회의 특성 3 게르만사회의 도시 4 수도원 5 종교개혁 제3장 절대왕정과 종교개혁 1 왕과 도시(부르주아)의 결탁 2 ‘왕의 기적’ 3 신민으로서의 공동성 4 근대자본주의(산업자본주의) 5 상비군과 산업노동자의 규율 6 국가의 감시 7 신도시 제3부 자본주의의 과학 제1장 경제학 비판 1 화폐 또는 자본이라는 ‘유령’ 2 1848년 혁명과 황제 하의 ‘사회주의’ 3 ‘물신의 현상학’으로서의 『자본론』 4 교환에서 유래하는 ‘힘’ 5 마르크스와 홉스 6 주식회사 7 영국의 헤게모니 제2장 자본=네이션=국가 1 쉽게 사멸하지 않는 국가 2 칸트의 ‘평화연합’ 3 자연의 ‘은밀한 계획’ 4 제국주의 전쟁과 네이션 5 교환양식에서 본 자본주의 6 자본의 자기증식을 가능하게 하는 끊임없는 ‘차이화’ 7 신고전파의 ‘과학’ 제3장 자본주의의 종언 1 혁명운동과 마르크스주의 2 10월 혁명의 귀결 3 20세기의 세계자본주의 4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의 ‘신제국주의’ 5 포스트자본주의, 포스트사회주의론 6 만년의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작업 7 환경위기와 ‘교통’에서의 ‘힘’ 제4부 사회주의의 과학 제1장 사회주의의 과학 1 1 자본주의의 과학 2 『유토피아』와 프롤레타리아 문제 3 양과 화폐 4 공동소유 5 ‘과학적 사회주의’의 종언 6 자술리치에 대한 답장 7 ‘일국’혁명 8 씨족사회에서 개인들의 자유 9 사적 소유와 개인적 소유 제2장 사회주의의 과학 2 1 엥겔스 재고 2 1848년 혁명 좌절 후 『독일농민전쟁』 3 1525년의 ‘계급투쟁’ 4 원시기독교에 관한 연구 5 공산주의를 교환양식에서 보다 제3장 사회주의의 과학 3 1 물신화와 물상화 2 카우츠키와 블로흐 3 블로흐의 ‘희망’과 키르케고르의 ‘반복’ 4 벤야민의 ‘신적 폭력’ 5 무의식과 미의식 6 아르카익한 사회의 “고차원적 회복” 7 교환양식D라는 문제 8 교환양식A에 의거하는 대항운동의 한계 9 위기에서 D의 도래 후기 옮긴이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