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정보의 입력과 출력 | 9
일반론이 성립되지 않는 분야 | 10 오관五官의 정보수용 능력 | 12
정보의 의미를 읽어내는 능력 | 15 입력의 두 가지 유형 | 18
목적선행형의 독서법 | 20 입력과 출력의 균형 | 23
2장
신문 정보의 정리 그리고 활용법 | 25
스크랩북 | 26 ‘록히드 사건’ 스크랩 | 28 튜브 파일 | 32
목적 없는 스크랩은 그만둬라 | 36 작업 순서에 대한 조언 | 39
약간의 실용적인 주의사항 | 41 분류는 독자적으로 고안하라 | 42
현실에 입각한 분류 | 45 분류는 지적 생산행위 | 47
칸막이를 이용한다 | 49
3장
잡지 정보의 정리에 대하여 | 51
방대한 분량의 잡지를 독파한다 | 52 기사의 보존과 카드작업 | 53
‘오야 문고’의 독특한 분류법 | 54 일본의 2대 잡지색인 | 57
어느 ‘정리 마니아’의 희비극 | 58 목적과 수단의 전도 | 60
카드는 자신을 위해 만들어라 | 62 실물을 수중에 넣는 것의 장점 | 64
외국의 잡지기사 색인 | 66 행잉 폴더의 활용 | 69
4장
정보검색과 컴퓨터 | 73
『뉴욕 타임스 인덱스』 | 74 컴퓨터화 된 의회도서관 | 76
편리한 미국의 『정보자원 디렉토리』 | 78 자료 복사 | 79
녹음기와 메모 | 83 개인적 정보처리와 컴퓨터 | 86
5장
입문서부터 전문서까지 | 91
사전 준비 | 92 우선은 서점부터 돈다 | 93 전문서점 | 94
없는 돈을 털어서 사라 | 96 입문서의 선택법과 독서법 | 97
중급서에서 전문서로 | 100 읽을 가치가 없는 책 | 101
처음부터 노트를 하지는 말라 | 103
최종적으로는 전문정보를 접하라 | 104
6장
관청정보와 기업정보 | 107
행정기구는 정보기관이다 | 108
정부간행물센터 | 110
자료의 신뢰성을 음미하라 | 112 관청의 정보 조작 | 113
업계단체와 거대기업이 가진 정보 | 116
‘NRI Search’ | 119
7장
‘인터뷰 취재’에 관하여 | 121
들어야 할 것을 미리 확인해두라 | 122 질문의 범주를 구별한다 | 125
기록 방법 | 128 비디오 기록의 활용 | 129 메모장 마련 | 130
첫째는 준비, 둘째는 상상력 | 131 체험한 사실인가, 전달이나 추측인가 | 132
내면적 상상력 | 134 논리적 상상력 | 136
거짓 논리를 간파하는 방법 | 137 ? 종은 두드리기 나름 | 140
8장
출력과 무의식의 효용 | 143
입력과 출력 ‘사이’는 블랙박스 | 144 머릿속에서 발효되기를 기다려라 | 145
KJ법은 도움이 안된다 | 147 무의식층의 거대한 잠재력 | 149
무의식 아래의 능력을 키운다 | 151
어떻게 하면 좋은 문장을 쓸 수 있을까? | 153 워드프로세서의 효용 | 156
9장
콘티형과 반짝형 | 159
콘티를 짜야 하는가 | 160 무無콘티파의 발상 | 161
눈에 보이지 않는 재료 | 164 ‘유레카’ 욕구 | 167
‘반짝 메모’를 한다 | 169 의미 부여는 의식적 작업 | 170
10장
재료 메모·연표·차트 | 173
‘재료 메모’ 작성법 | 174 ‘서두’ 문제 | 176
재료 메모의 구체적인 예 | 178 재료와 메모를 연결하는 색인 | 181
‘연표’를 만들면 무엇이 좋은가 | 182 ‘차트’ 만드는 법 | 185
11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