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개정증보3판을 펴내며 1 2017년, 한국에서 집을 짓는다는 것 개정증보3판을 펴내며 2 함께 사는 공존의 논리를 공간으로 구현하는 과정 초판 서문 집은 우리의 의사표현이다 I. 집짓기에 관한 거의 모든 것 01 그들, 만나다 왜 나는 집짓기를 결심했을까 건축가란 누구인가 건축은 예술이다 궁합 좋은 건축가, 어떻게 만날까 땅을 알면 집이 보인다 NOTE / Q&A 02 마음, 굳히다 설계비, 어떤 비용일까 평당 16만 원 건축사무소에서는 무슨 일을 할까 좋은 시공파트너를 만나는 방법 좋은 설계, 무엇이 다를까 예산에 맞춘 설계, 가능할까 NOTE / Q&A 03 관계, 모든 일의 처음과 끝 여러 다양한 관계들 설계보다 감리 견적을 내는 과정은 집을 정의하는 과정 낮은 견적, 공개 입찰, 그보다 신뢰, 어떤 것이 먼저일까 재산을 대표하는 집, 문화를 드러내는 집 좋은 관계, 이상한 관계, 나쁜 관계 기후 변화, 공사기간, 몸에 좋은 목조 집, 문화를 드러내는 척도 NOTE / Q&A 04 설계, 공간과 시간 사이에서 인테리어 디자이너의 일 의무와 협의사항 사이에서 생활을 변화시키는 공간 거실 - 스위트홈에 사로잡힌 욕망 계단 - 단독주택의 핵심 현관 - 이 어색한 공간에 대한 고민 수납 - 크기를 키우지 말고 효율적인 배치를 마당 - 이웃과의 관계를 결정하는 통로 담 - 담이 담이면서 담이 되지 않는 외장재 - 집의 첫인상 처마, 어닝 - 독창적인 빛과 바람 설계 방 - 빛의 조건을 다루다 부엌 - 부엌과 가전제품의 은밀한 관계 NOTE / Q&A 05 환경 변화에 대처하는 설계 지진에 대비하다 - 내진설계법과 적용범위, 설계와 시공에 관하여 대기오염과 미세먼지에 대처하다 - 환기시스템 등에 관하여 단열을 강화하다 - 개정된 단열법 내용과 그 적용에 관하여 06 짓기, 맘과 꿈을 담아 터 닦기 전에 갖춰야 할 기초공사 - 매트냐 줄이냐 지하 공사 - 너무도 매력적인 조심스런 도전 설계 변경의 마지막 기회 1층을 세우다 2층, 다락 공사 인테리어란 무엇일까 벽지 또는 페인트 바닥재 부엌 시스템 그 밖의 이야기들 조경 07 관심, 집은 공공재다 준공, 사용 승인 완공 뒤 치러야 하는 지불 펀치 리스트 예상할 수 있는 상황들 1: 습도 예상할 수 있는 상황들 2: 설비의 문제들 예상할 수 있는 상황들 3: 결로 현상 예상할 수 있는 상황들 4: 입주 후 체크할 점 복습 동네에서 더불어 살기 아이들, 집에 적응하기 건축주, 건축가, 시공자 만남을 마치며 II. 들려주고 싶은 나의 집 이야기 01 건축주 송형국 우리에게 집이란 아이의 뇌가 걱정이다 주택을 사고판다는 것 어디에 살 것인가 시간을 설계하는 건축가 우리는 잘 쉬고 있을까 건축가 상담 아내는 늘 옳다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해 책 좋아하는 집 아이는 따로 있다 주택 유형별 범죄 피해 분석 포기할 땐 미련 없이 주상복합에서의 넉 달 시공사와 만나다 | 평당 공사비 얼마 집에 담은 깨알 아이디어 집은 ‘그릇’이 아니다 02 건축주 문성광 어떻게 지을까 남편의 고민, 어디에 우리 가족의 터를 땅 보러 다니다 | 선입견들을 극복하고 내가 고른 땅 건축가를 만나다 첫 상담, 첫 도면 | 시공사를 선정하다 입주 후 어느 날의 일기 03 건축주 정재식 집을 지어보니 현실의 턱 낯섦 | 이웃 땅을 사다 측량 | 기초공사 이사 이후 문제현상에 대한 결론 | 결로 보수공사의 일정 어려운 선택, 소중한 경험 04 건축가 조남호 집과 건축, 공존의 논리를 구현하기 집의 문화적 변모 소유하는 집, 존재하는 집 주택은 작은 도시, 도시는 하나의 거대한 주택 깃듦의 건축; 한옥과 경골목구조의 만남 길과 건축 석빙고의 원리를 적용한 환기시스템 에필로그 05 건축가 문훈 나의 오 년 문훈 스타일 건축주 찾기 닿고자 하는 곳 값싼 귀한 것은 없다 부산 타임스 06 건축가 김창균 건축주가 된 건축가 언제부터였을까, 집을 지어야겠다는 마음을 먹은 건 | 건축가가 직접 자기 집을 지으면 뭐가 달라도 다르겠지 | 3대 3가족이 모여사는 듀플렉스 하우스 설계의 큰 주제 | 직영공사를 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또는 할 수 있었던 이유 내가 선택한 에너지 절약 마감재 선택 세 가족의 생활 07 시공자 문병호 꼭 들려주고 싶은 현장 이야기 목조주택은 여전히 진화 중 중소 규모 시공사의 하루 | 견적 단계에서 놓치는 실수 무리한 입찰 경쟁 기술과 마케팅의 간극 | 『집짓기 바이블』 출간 이후 5년, 달라진 시공 환경 공사를 시작하기 전, 주의점 건축주들에게 보내는 귀띔 사후 관리에 관하여 끝으로 들려주고 싶은 결정적 조언 III. 집을 지은 후에도 01 입주 후, 2년 하자에 대처하기 2년 후, 무엇이 달라졌을까 증축, 또는 변화를 원한다면 환기, 벤틸레이션 가장 흔한 창호 결로 일본의 가벼운 단독주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