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서문 질문들 주디스 버틀러의 질문들 / 에르네스토 라클라우의 질문들 / 슬라보예 지젝의 질문들 주디스 버틀러 보편자를 다시 무대에 올리며: 헤게모니와 형식주의의 한계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정체성과 헤게모니: 정치 논리의 구성에서 보편성이 지닌 역할 I. 헤게모니: 하나의 이름 속에 무엇이 있는가 / II. 헤겔 / III. 라캉 / IV. 객관성과 수사 / V. 정치, 그리고 보편성의 타협 슬라보예 지젝 계급투쟁입니까, 포스트모더니즘입니까 예, 부탁드립니다! I / II / III / IV / V / VI 주디스 버틀러 경쟁하는 보편성들 헤게모니의 흔적 / 성차의 이중화 / 배척들 / 규범 속의 환상 / 정치의 가능성 조건들그리고 몇 가지 더 / 번역 실천에서의 특수자와 보편자 / 논리의 실천, 담화의 정치, 그리고 경계적인 것의 정당화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구조, 역사, 그리고 정치적인 것 버틀러에 대한 답변 / 지젝에 대한 답변 / 해방의 변증법 슬라보예 지젝 끝없이 처음부터 반복하기Da Capo senza Fine 버틀러: 역사주의와 실재 / 라클라우: 변증법과 우연성 / 역사주의에 반해 / ‘구체적 보편성’ / 헤겔적 개념으로서의 누아르 / 소외에서 분리로 주디스 버틀러 역동적 결론들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보편성의 구성 차이의 진술 / 계급의 해체 / 집합 의지와 사회적 총체성 슬라보예 지젝 자리를 점유하기 버틀러: 실재와 그 불만 / 라클라우: 계급, 헤게모니, 그리고 변질되는 보편자 / 현실주의자가 되자, 불가능한 것을 요구하자!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