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Description
이 책을 읽으면서, 이제 와 돌이켜 보면 여성들이 어떻게 여기까지 올 수 있었는지 알 것만 같다. 19세기 유럽 사회에서도 가장 발전한 사회였던 영국에서조차 여성은 노예 상태에 있었다. 자유롭게 혼인할 수 없었으며, 재산을 소유하기 어려웠다. 남성에 의해 자행되는 일상적인 폭력에 저항할 수 없었다. 투표권이 없었고, 자기 능력을 발휘할 기회도 없었다. 이 책은 그와 같은 여성의 현실이 어째서 노예 제도보다 더 야만적인 종속 상태인지 진지하게 밝힌다. 저자가 이 책을 저술한 목적은 설득에 있다. 여성의 종속이 지니는 문제점을 보지 못하거나 외면하는 대중을 설득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젠더 문제로 다른 견해를 갖고 있는 사람을 설득하기란 참으로 어렵다. 저자도 그 어려움을 토로하면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저자는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설득하려고 애쓰는 저자의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 저자의 노력 덕분일까. 이 책에는 지금껏 지구에서 한 생을 살았던 모든 여성의, 모든 세대에 걸친 여성의 한탄, 한숨, 슬픔, 외침, 염원이 들어 있다. 그런 염원을 담아 밀이 이 책을 썼다. 그리고 이 책에 담긴 밀의 주장은 후대 인류 사회에서 거의 대부분 실현됐거나 실현돼 가는 중이다. 아직 지구촌 여러 나라에서는 여전히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지만, 문명 사회라고 불리는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이 폐지됐다. 종속 상태에서 벗어난 여성은 자유롭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밀이 소망한 대로 노예 상태에 머물던 인류의 절반이 자유를 쟁취한 것이다. 실로 이 책은 페미니즘 역사 책이다. 그리고 페미니즘 예언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