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호사카 유지 · History
211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1(14)
0.5
3
5
Rate
3.1
Average Rating
(14)
Comment
More

한국으로 귀화한 일본인 교수가 역사 속의 선비와 사무라이를 조명한 책. 지은이가 보기에 한국을 만들어온 정신은 선비문화고, 일본의 상징은 사무라이다. 지은이는 그러한 가정을 하고 선비와 사무라이가 어떤 배경에서 태어나 무슨 교육을 받았으며, 어떻게 국가에 등용되고 국정을 이끌었는지를 추적한다. '한일을 대표하는 정신, 붓과 칼', '선비와 사무라이의 탄생',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리의 통념 속에 자리잡고 있는 사무라이가 임진왜란 이후 성리학의 세례를 받은 이후 변화된 모습이라는 것을 지은이는 보여준다. 이외에도 선비와 사무라이의 차이점과 역사적 교류가 흥미롭게 서술되어 있어 이 둘의 상호연관성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 한번쯤 읽어볼만한 책이다. 김영사에서 펴내는 '표정 있는 역사' 시리즈 일곱 번째 책.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Rating Graph
Avg 3.1(14)
0.5
3
5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머리말 제1장 한일을 대표하는 정신, 붓과 칼 선비란 무엇인가 / 선비가 선비를 말하다 / 서양인의 눈에 비친 선비 속유와 진유 / 사무라이와 무사도 / 무사도에는 유학이 살아 있다 사무라이 정신 / 근대화 이후의 무사도 제2장 선비와 사무라이의 탄생 선비와 사무라이의 기원 / 최초의 무사 / 천황가와 사무라이 왕도 선비다 / 사무라이와 선비의 성 / 귀족과 사무라이 헤이시와 겐지의 차이 / 선비는 붓으로 싸운다 / 사무라이는 칼로 겨룬다 유교와 손자병법 / 사무라이의 고유신앙 / 선비와 사무라이의 교육 선비와 사무라이는 무엇을 위해 살았나 제3장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아시카가 요시미쓰와 아시카가 요시마사 이황과 성혼, 일본 학풍의 원류가 되다 / 손자병법의 명장 다케다 신겐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일본 유학의 아버지, 조선 선비 강항 강항의 제자 후지와라 세이카 / 선비가 본 일본, 사무라이가 본 조선 도쿠가와와 미토학 / 김옥균과 민영익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