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부 슈퍼피셜 코리아 01. 재미있는 천국 재미있는 지옥에서 보낸 한철 | 죄수의 딜레마인가 02. 원한다, 우리가 남이어도 괜찮은 사회를 슈퍼 네트워크 | 안 되는 것도, 되는 것도 없는 세상에서 펼쳐지는 자신들만의 잔치 | 시야를 넓히려면 담장부터 허물자 03. 규제와 요령의 술래잡기 너무 많은 규제와 너무 느슨한 처벌 | ‘붙임’과 ‘첨부’의 향연, 이어지는 요령과 편법의 기술 04. 개인을 감시하는 무례한 시선부터 감시해야 한다 서베일런스, 보호와 감시의 경계에서 | 감시의 시선이 향하는 곳 05. 원칙은 공정하게, 처별은 강력하게 관행이라는 변명 | 공정한 법과 질서, 그리고 집행 06. 동종교배의 유혹 자신들만의 리그 | 동종교배로 잃는 것들 07. 폴리페서의 늪 교수들이 바쁜 이유 | 책무의 상충, 이해관계의 상충 08. 대학이 미래다 사과와 오렌지 | 대학별 특성화 2부 실리콘밸리를 생동하게 만드는 정신 01. 착하고 무난한 표준 말고, 튀는 ‘퍼스트 무버’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 | 박스에서 나오라 | 패스트 팔로어에서 퍼스트 무버로 02. 방향을 잃은 이상한 스펙 인플레이션 나라를 버리고 싶다 | 커미트먼트는 어디에? | 진짜로 원하는 것 03. 꿈을 태어나게 한 것 의미와 가치의 힘 | 개인주의는 이기주의가 아니다 04. 국경 없는 인재 유치 저출산, 고령화, 인재 유출 | 다국적군이 만든 실리콘밸리 05. 강박에 가까울 만큼 다양성에 집착하다 혁신은 기술이 아닌 문화에서 나온다 | 다양성 책임자 | 다양성 교육이 중요하다 06. 로마법만 강요하는 로마에는 아무도 가지 않는다 말로는 다문화주의, 현실은 동화주의 | 동정하지 마세요, 불우이웃 아닙니다 | 아웃사이더가 아닌 마이너리티 07. 이민국, 아직은 이르다 이민이 답인가? | ‘유학-취업-가교’전략 |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활용하자 3부 다른 나라에서 01. ‘등 터지던 새우’에 작별을 고함 더이상 실패하면 안 되는 외교 | 언제까지 ‘고래사이에 끼인 새우’란 말인가? | 돌고래 외교를 하자, 한국은 미들 파워다 | 눈치만 보는 모습이 실망스럽다 | 원칙은 분명하게, 전략은 유연하게 02. 지겨운데다 도움도 안 되는 ‘반미’ ‘친미’ 프레임 반미, 반미주의, 반미감정 | 제국주의 음모론 | 미국, 미국인에게 한국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03. 팍스 아메리카나, 아메리카 퍼스트 미국을 지탱하는 조금 세련된 제국주의 | 일본은 미국을 넘지 못했다 | 중국도 미국을 쉽사리 넘지 못할 것이다 04. 무심한 쪽과 쿨할 수 없는 쪽 힘의 불균형을 상쇄할 수 있는 것 | 트럼프의 외교적 고립주의, 하지만 겁먹지 말자 05. 중국식 공산주의와 거버넌스 반제국주의 혁명의 기수 | 개혁 개방과 효율적 거버넌스 06. 국경에서 화교의 힘과 대중화권 | 대중화권 모델이 우리에게 주는 의미 대한반도권으로 평화를 만들자 07. 선택의 문제가 아닌 미국과 중국 사이 샌드위치론은 출발점부터 잘못되었다 | 핀란드에서 배울 것 08. 사람들은 일본을 좋아해 일본을 모델로 삼았던 날들을 담담하게 | 한국과 중국만 일본을 깔본다 09. 끝나지 않은 과거사 문제 정교한 논리와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 국제 사회의 이해를 높여라 10. 상실의 시대를 건너뛰는 방법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 새로운 변화 11. 우리는 북한을 모른다 김씨 왕조의 계보 | 재벌 오너를 닮은 김정은 12. 코리아 리스크 핵무기의 용도 | 미국과 중국이 북핵 문제를 해결할까? | 한국이 나서야 한다 | 남북 관계가 달라지지 않으면 ‘코리아 리스크’는 사라지지 않는다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