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금세기 최고의 역사소설가 버나드 콘웰의 독보적인 명작 <아서 왕 연대기> 제2부 “매혹적인 리얼리즘과 경이! 아서 이야기에서 더 이상 나올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독자들의 필독서.” _북리스트 금세기 최고의 역사소설가 버나드 콘웰이 치밀한 고증으로 탄생시킨 아서 왕 이야기의 독보적인 명작 30여 년에 가까운 기간 동안 50여 편에 달하는 작품들을 집필하며 현존하는 역사소설가로서 독보적인 위치에 오른 영국의 국민작가 버나드 콘웰. 나폴레옹 전쟁 시절 리처드 샤프라는 한 소총병의 이야기를 연대기 형식으로 다룬 <샤프 시리즈>, 기존 아서 왕의 전설을 ‘군벌Warlord ’이라는 개념으로 새롭게 다룬 <아서 왕 연대기>, 9세기 색슨족과 바이킹의 이야기를 다룬 <색슨 시리즈> 등 수많은 명 시리즈를 집필해오며 전 세계적으로 영국 역사소설의 위상을 높인 버나드 콘웰의 작품들이 랜덤하우스코리아를 통해 속속 번역, 출간되고 있다. 그리고 버나드 콘웰이 자신의 가장 대표작이라 꼽는 <아서 왕 연대기> 1부 《윈터 킹》의 출간에 이어 2부 《에너미 오브 갓》이 비로소 독자 앞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아서 왕 연대기>는 버나드 콘웰의 1995년작 《윈터 킹》, 1996년작 《에너미 오브 갓》, 1997년작 《엑스칼리버》의 세 작품으로 이루어진 3부작 시리즈로 앞서 언급했듯 버나드 콘웰 자신이 가장 만족스러운 작품으로 꼽을 만큼 치밀한 고증과 작가의 심혈을 기울인 대작 시리즈이다. 아서에 대한 역사적 기록이 거의 없는 만큼 기존의 작가들이 아서를 신화 속의 인물로 받아들이고 창작한 반면 버나드 콘웰은 아서 시리즈의 원전이라고 일컬어지는 토머스 맬러리의 《아서의 죽음》을 기본 틀로 잡으면서도 신화적 요소를 최대한 배제하고 피와 살이 튀기는 정통 역사소설로서 자신만의 새로운 아서를 만들어냈다. 신의 적이자 불굴의 전사, 악마의 자식이자 정의의 통치자 아서가 가져온 평화는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 암흑의 시대에 벌어진 복수와 전쟁, 화려한 비극과 함께 펼쳐지는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 <아서 왕 연대기> 제1부 《윈터 킹》에서 아서는 서자라는 이유로 아버지 유서 대왕에게 홀대를 받고 변방으로 쫓겨났지만 특유의 리더십과 역량으로 최고의 군인으로 인정받고 차기 왕으로 낙점된 아기 모드레드의 수호자로서 그를 지켜나간다. 2부 《에너미 오브 갓》은 브리튼 내부의 평화를 이룬 아서가 호시탐탐 브리튼을 노리는 색슨족과의 일전을 꿈꾸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아서의 충실한 친구이자 화자인 데르벨은 이상주의자 아서를 믿고 따르지만 아서가 그 이상을 이루기까지 몇 가지 문제가 있다는 걸 파악하고 있다. 첫째, 아서가 인간이 만든 법치와 질서로 새로운 브리튼을 꾸리는 꿈을 꾸는 반면, 아서의 가장 든든한 조력자인 마법사 멀린은 로마의 침입으로 사라진 보물들을 찾아 그 힘으로 옛 신들을 다시 불러오면 브리튼의 평화는 절로 유지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점. 둘째, 인간 중심의 사고방식을 가진 아서가 기독교도의 급속한 증가에도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반면, 기독교도들은 아서를 이단이자 하느님의 적이라 칭하며 기독교도 왕을 원한다는 점. 셋째, 왕으로서의 위대한 자질을 지닌 아서가 망나니 왕자 모드레드의 수호자로서의 역할에만 충실한 바람에 모드레드가 둠노니아의 왕이 된 이후 브리튼의 평화가 깨어질 것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 이렇게 《에너미 오브 갓》은 금방이라도 깨질 것 같은 빙판 위를 걷는 듯한 불안한 평화 속에서 아서와 그의 위대한 동료들, 그리고 그의 위대한 적들이 펼치는 화려한 비극을 다룬다. 버나드 콘웰의 아서 이야기는 기존에 기록된 역사의 큰 틀은 지키면서 캐릭터, 디테일, 결정적으로 역사관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면서 작품에 완전히 새로운 재미를 주는 데 성공한다. 누구보다도 정의로우며 타인에 대한 동정과 연민도 가진 매력적인 군주이지만 목적을 위해서는 권모술수를 아끼지 않고, 자신이 만들어낸 함정에 스스로 빠지기도 하는 아서, 현자(賢者)와 악마, 그리고 약삭빠른 정치가로서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는 마법사 멀린, 아서만큼 뛰어난 재능을 가졌지만 자멸의 길로 빠져드는 귀니비어, 허영과 나르시시즘의 대명사 란슬롯. 여기에 버나드 콘웰은 가장 원시적이고 야만적이며 잔혹했던 역사적 시기의 아서와 그 인물들에게 훗날 기독교적 세계관에 의해 첨가된 낭만과 우화는 없었다고 보고 100퍼센트 사실적인 역사소설을 쓰는 데 주력한다. 마술검 엑스칼리버는 절망의 순간에도 신을 불러내어 아서를 돕지 못하고 멀린은 적에게 모두 섬멸당할 위기에서 안개를 불러내고 작은 뼈조각으로 불가능했던 연인의 사랑을 이루어지게 하지만 거기엔 지략과 음모가 숨어 있다. 화자 데르벨에게 아서의 이야기를 쓰게 하는 기독교도 왕비 이그레인이 기존 아서 이야기의 낭만을 믿고 있는 독자들을 대변한다면 데르벨은 이그레인과 독자의 환상을 무참히 짓밟고 현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서 왕 연대기>의 스케일은 방대하다. 사방에 마법의 힘이 진동하고, 산과 강에서 괴물이 등장하고, 마법의 검으로 신에게 선택을 받지도 않지만 피와 살이 튀기는 진정한 전쟁과 인간이 인간에게 가하는 사랑과 배신, 욕망과 이상이 그 어떤 판타지보다 거대한 스케일로 등장한다. 버나드 콘웰의 <아서 왕 연대기>는 모든 내용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한 고전이 완전히 새로운 시대의 창작품으로 재탄생하는 순간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하는 작품이다. 이것이야말로 문학만이 가질 수 있는 위대한 특징이 아닐까. <아서 왕 연대기> 3편이자 마지막 편인 《엑스칼리버》는 2011년 봄에 출간될 예정이다. ■ 아서왕 연대기 Vol.1 윈터 킹 암흑의 시대, 혼란의 브리튼 왕국을 통일할 단 한 명의 제왕은 누구인가! 색슨족의 침입과 분열된 부족들로 서서히 위세가 기우는 브리튼 왕국의 둠노니아에 드디어 후계자가 태어난다. 뛰어난 군인이자 전략가인 아들 아서를 서자라는 이유로 내친 둠노니아의 왕 유서는 손자 모드레드를 후계자로 삼고 죽지만, 아무런 권력도 힘도 없는 아기 왕의 자리를 노리는 세력들이 둠노니아로 모여든다. 이미 변방에서 높은 명성을 쌓은 아서 역시 둠노니아에 입성하고 신들의 선택과 아버지와의 서약에 따라 조카 모드레드의 왕권을 지켜내는 데 성공한다. 아기 모드레드가 나라를 다스릴 자격과 나이가 될 때까지 둠노니아를 수호해야 하는 아서. 그러나 점점 세력이 강해지는 색슨족은 브리튼 왕국의 각 부족들을 점령하며 둠노니아로 다가오고 브리튼 왕국의 대왕 자리를 노리는 포위스의 고르버디드 왕은 둠노니아에 불만을 품은 다른 부족들과 연합해 아서를 공격한다. 왕국의 수호자 마법사 멀린이 실종된 상태에서 아서는 나라 안팎의 적과 싸움과 동시에 지배자로서의 욕망과도 싸워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