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

전상운 and other
20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2.8(6)
Rate
2.8
Average Rating
(6)
선사 시대에서부터 삼국 시대,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1999년 순수 우리 기술로 만든 인공 위성 우리별 3호를 쏘아올리기까지 우리 나라 과학의 역사를 담았다. 40여년 동안 한국 과학사와 과학 문화재를 연구한 전상운 박사가 지었으며, 어린이들을 위한 한국 과학사 책으로는 처음 출간된 책이라고 한다. 어린이를 위한 인문과학 총서로 기획된 '아이세움 배움터' 시리즈의 첫 권이기도 하다. 돌과 돌을 쳐서 떼어 낸 조각으로 만든 '뗀 석기'에서부터 은은한 금빛을 띤 청동기, 우리 문화재의 자랑인 석굴암, 첨성대, 앙부일구까지. 각 시대 별로 찬찬히 짚어주기 때문에 각 시대의 흐름이나 생활 모습까지 배울 수 있다. 그림이나 사진 등 관련자료를 많이 실었으며, 사진들이 크고 선명하여 이해하기 쉽다. 혼천의, 자격루, 청동활자 등 단순한 설명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도구들에 대해서는 따로 페이지를 마련하여 작동원리나 모습을 상세히 보여주는 친절함도 잊지 않는다. 딱딱하고 지루한 설명을 피하기 위해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어투를 사용한 것도 장점이다. '할아버지가 어렸을 때만 해도 집 안에 수도는커녕 우물이 있는 집도 드물었어.'와 같은 대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스스로를 할아버지라 칭하며 어린이 독자들에게 친근하게 설명해 주고자 한 배려가 엿보인다. 서양 과학의 역사나 과학자들의 이름을 줄줄히 꿰면서도 우리 역사적 과학 문화재에 대해 무심하거나 평가절하하기 쉬운 어린이들에게 좋은 계기가 되어줄만 하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Rating Graph
Avg2.8(6)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I. 과학은 무엇으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1. 구석기 시대에 도구와 불의 이용법을 알게 되었지 2. 신석기 시대에 농사를 짓기 시작했지 3. 청동기를 쓰니 세력이 일어나네 4. 쇠로 무기도 만들고, 농사도 짓고 II. 삼국 시대에 과학의 싹이 트기 시작했어요 1. 삼국 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금속 다루는 기술이 크게 발달했지 3. 해와 달과 별을 보고 하늘의 뜻을 읽다 III. 고려 시대에 과학 문명이 크게 성장했어요 1. 흙을 다루는 기술이 세계 최고야 2. 우리 나라가 세계 최초로 금속 활자를 만들었지 3. 나라를 지키려면 좋은 무기가 필요하지 IV. 조선 시대 전기에 과학 문명은 활짝 꽃을 피웠어요 1. 하늘의 별은 어떤 이치로 움직일까? 2. 빛과 물이 있으면 시간을 알 수 있어 3. 기후를 잘 관찰해야 풍년이 든다네 4. 한 폭 종이 위에 조선 팔도가 담겨 있네 5. 책을 만드는 일은 내게 맡기세요 6. 적을 막는 무기와 사람을 살리는 의학 V. 조선 후기에 실학과 서양 학문이 들어왔어요 1. 나라가 안정되니 과학이 발달하네 2. 우아, 신기한 서양 문명이 들어왔네 3. 우리 나라 실학자들은 과학을 좋아해 VI. 오늘날 우리는 빛나는 과학 문명을 이루었어요 1. 서양 기술을 알아야 나라가 산다 2, 일제 시대에 산업화의 첫걸음을 내딛었지 3. 역경 속에서도 한국의 과학 기술이 발달했어요

Description

우리나라 과학사를 연구한 1세대 학자, 전상운 선생님이 ‘어린이를 위해 쓴 우리나라 과학사’,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 개정판이 출간되었습니다! 전상운 선생님은 일찍이 우리 과학의 우수성을 알아차리고, 우리 땅 곳곳에 방치된 과학 문화재를 몸소 발굴하고 그 가치와 의의를 연구하고 국내외에 알리는 데 한길을 걸어온 분입니다. 1982년에 그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습니다. 어린이 인문교양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모범작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는 2001년 8월 10일 초판이 출간되어 만 7년 동안 수십 쇄를 거듭하며 어린이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책입니다. 또한 아이세움의 태동과 더불어 기획된 첫 책으로, 아이세움이 좋은 어린이 교양서 출판사로 자리매김하는 데 크게 기여한 책이기도 합니다. 당시에만 해도 전문 학자가 어린이책을 쓰는 일이 드문 터였기에, 《돌도끼》 출간은 제대로 만든 어린이용 지식교양서의 시작을 알렸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옛 이야기처럼 편안히 듣는 우리 과학 이야기 ‘차례’만 보아도 이 책이 얼마나 다정하게 독자에게 말을 걸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소재는 만만치 않습니다. 과학과 역사의 만남! 일종의 테마사라고도 할 수 있겠지요. 대개 미시사나 테마사는 통사 이후의 독서 단계로 치지요. 그래서 평소 아주 구수하게 말씀을 잘 하시는 전상운 선생님은 옛 이야기 전략을 썼습니다. ‘옛날옛날 과학은 그렇게 시작되었단다’ 하고 시작된 선생님의 옛 이야기는 인류의 조상이 도구와 불을 사용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가, 청동기와 철기 시대, 공예 기술이 더 한층 발달한 삼국 시대,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를 발명한 고려 시대, 천문관측이 발달한 조선 시대 전기, 청나라와 서양의 근대과학 문명을 받아들인 조선 후기 그리고 근현대까지 술술 넘어옵니다. 이번 개정 작업은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첨단 과학 분야 내용을 보강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줄기세포 복제와 관련된 황우석 박사 이야기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므로 단순 언급 차원으로 제한하여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과학의 최고 전문가 집단으로 불리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을 부록으로 실었습니다.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은 한림원에서 2003년부터 운영해온 사업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국가 발전에 헌신한 과학기술인을 선발해 국립과천과학관 내의 헌정 공간에 모십니다. 2007년까지 헌정된 24인의 명단 속에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사가 담겨 있는 것입니다.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의 선정 사항 교육과학기술부 선정 우수과학도서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선정 청소년권장도서 어린이도서연구회 선정도서 한우리가 뽑은 좋은 어린이책 어린이문화진흥회 선정 좋은 어린이책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