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 1부 우리가 아는 것과 알 수 없는 것 1. 우리 모두는 실험실의 통 속에 들어 있는 뇌일 뿐? 육체 없는 두뇌 | 장자의 꿈 | 과학이 모든 것을 해결한다? | 나는 생각한다 | 지식을 얻기 위한 두 가지 방법 |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 | 역설의 세 가지 유형 | 과학은 외부세계의 지도 | 역설은 명제들의 관계 뒤로 숨는다 | 다른 모습으로 위장한 동일한 문제들 2. 모든 갈까마귀는 검은색이다 두 가지 증거가 만나서 | 물질과 반물질이 만난다면? | 증거 제공하기 | 믿고 있던 이론을 버려야 할 때 | 거짓임을 도저히 증명할 수 없다는 것은? | 검은 갈까마귀 찾기 | 결코라는 말은 결코 하지 마 | 검지 않은 갈까마귀 찾기 | 아무리 작아도 모순은 모순이다 | 99피트 인간의 역설 | 배경증거를 무시하겠다고? 3. 초랑색 에메랄드는 언젠가는 파록색으로 변한다 초롱파록어를 아십니까? | 폭잡한 단어, 조작된 범주 | 100억 년 뒤 태양은 백색왜성이 된다? | 아주 느리게 색깔이 변한다면 | 보색으로 바뀐 세계 | 악마이론 16번 | 모든 것은 모든 것을 입증한다? | 실체를 필요 이상 늘여서는 안 된다 | 초랑파록어 배우기 | 세계가 돌아가는 방식 | 쿼크의 색은 초라스름한가? 4. 지난 밤에 모든 것이 두 배로 커졌다면 경험으로 증명할 수 없는 진리는 없다 | 미쳐버린 물리학 | 우주가 팽창했다 | 도저히 알아챌 수 없을 일들 | 시간은 5분 전에 시작되었나? | 지금 모르면 영원히 모른다? | 블랙홀 탐사 | 다른 사람들에게도 영혼이 있을까? | 쾌락이 두 배로 늘어난다면 | 완전히 독립적인 실재는 없다 제 2부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 잠깐 딴 이야기 : 의사 선생 왓슨의 수수께끼 창의력 테스트 | 가스, 수도, 전기 문제 | 회사의 소문 | 무덤 수수께끼 | 측량기사의 곤경 | 해결 5. 모래가 한 알만 있어도 훌륭한 모랫더미다 테세우스의 배 | 명제에 명제를 이어서 | 알고리듬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 거짓말쟁이와 진실쟁이 | 누가 거짓말쟁이인가? | 연역추리의 핵심 | 정말로 해결하기 어려운 수수께끼 | 미지수가 많아지면 | 과학과 수수께끼 6. 죄수는 어느 날 교수형 당할 것인가 불완전한 지식과 역설의 그림자 | 더 큰 숫자? | 상황이 훨씬 단순할 때라면 | 시간여행 역설 | 지식이란 무엇인가? | 믿음, 정당화, 진리 | 누구도 이 문장을 믿지 않는다 | 확실한 것은 없다 | 아직도 하나 모자라는 조건 | 모든 길이 모순으로 통할 때 7. 예상대로 되리라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 | 그런 역설이 있을 수 있는가? | 불가능의 영역과 가능세계 | 얼마나 많은 세계가 가능한가? | 가능세계의 수를 줄여라 | 지나치게 겸손한 저자의 서문 | 믿음이 모순을 감추는 방식 | 어던 믿음을 포기할 것인가 8. 톰슨 램프는 무한히 켜지고 꺼질 것인가 파이의 마지막 자릿수 | 제논의 역설 | 무한의 끝을 보여다오 | 기하급수를 우습게 알지 마라 | 더 빨리 자라는 함수 | 우주는 무한한가? | 호두 한 알 속에도 우주가 | 별들끼리 멀어지고 있기 때문에 | 트리스트럼 샌디가 영원히 산다면 9. 추이펜의 미궁 슈퍼컴퓨터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 | 미로 속에서 길을 찾으려면 | 오른손 규칙 | 지나간 길 표시하기 | 무한한 미궁 속을 헤맬 때는 | 가장 짧은 길 찾기 | 길은 과연 있을까? | 어려운 문제의 쉬운 해답 | 로봇 부대가 미로에 도전한다 | 지식을 위한 마법의 열쇠 | 경험의 카탈로그 | 우주만큼 큰 컴퓨터 제 3부 의미, 지식, 그리고 정신 10. 쌍둥이 지구에서 물을 마시다 해독할 수 없는 중세의 암호 | 잘못된 해석 | 의미와 무의미 | 경험을 해독하는 방식 | 얼마나 많은 정보가 필요한가 | 지식의 수수께끼 | '통 속의 뇌'는 그 사실을 알 수 있을까? | 1750년의 쌍둥이 지구 | 물과 암모니아가 뒤바뀐 별 | 아틀란티스의 도서관 | 암호 해독의 열쇠 | 열쇠 없이 암호 풀기 | 해독의 타당성을 증명하려면 |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11. 써얼의 중국어 방 두뇌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 생각하는 기계 | 컴퓨터의 사람 흉내내기 | 문자를 이해한다는 것 | 의식은 알고리듬이 아니다 | 의미 이해하기 | 문법과 의미의 관계 | 다른 언어를 쓰는 두 인격 | 과정 전체에 의식이 들어 있다 | 언어를 처리하는 알고리듬 | 아인슈타인의 두뇌 살려내기 12. 모든 것을 알면 오히려 불리하다? 겁쟁이 게임 | 죄수의 딜레마 | 뉴컴의 역설 | 역설에 대한 여러 반응 | 자유의지의 문제 | 행동을 결정하는 원리 | 예측은 속임수일 수밖에 없는가? | 두 가지 다른 예측 | 혼돈이 정상이다? | 자유의지와 결정론 | 우주의 완전한 모델을 만들려면 | 서기 3000년에도 여전히 남을 역설 참고 문헌 |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 |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