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책머리에 ? 5 제1부 시와 말과 세상 시 쓰는 몸과 시의 말 ? 17 문학의 정치성과 자율성 ? 43 잘 표현된 불행 ? 59 불모의 현실과 너그러운 말 ? 78 시는 포기하지 않는다 ? 86 상징과 알레고리 ? 99 번역과 시 ? 109 누가 말을 하는가 ? 129 끝나지 않는 이야기 ? 142 실패담으로서의 시 ? 154 비평의 언저리 ? 161 얼굴 없는 것들 ? 172 형해로 남은 것들 ? 181 절망의 시간 또는 집중의 시간 ? 198 젊은 세대의 시와 두 개의 감옥 ? 216 위반으로서의 모국어 그리고 세계화 ? 229 정치 대중화 시대에 문학은 가능한가? ? 244 어머니의 환유 ? 254 제2부 현대시의 길목 한용운?이별의 괄호 ? 263 소월의 자연 ? 277 김기림에게 바치는 짧은 인사 ? 288 『오감도』 평범하게 읽기 ? 299 지성주의의 시적 서정?윤동주 시의 모순구조 ? 325 김수영의 현대성 혹은 현재성 ? 339 시의 몫, 몸의 몫 ? 361 관념시에서의 구체성의 자리 ? 381 말라르메 송욱 김춘수?말라르메 수용론을 위한 발의 ? 397 역사의식과 비평의식?송욱의『시학평전』에 관해 ? 408 세속과의 완전한 불화 ? 432 제3부 시쓰기의 현장 인내하는 자의 농업?이문재, 『마음의 오지』 ? 455 꿈의 시나리오 ? 463 고은의 가성에 대해?고은, 『늦은 노래』 ? 475 시의 마지막 자리 ? 494 꿈의 시나리오 쓰기, 그 이후?이수명, 『고양이 비디오를 보는 고양이』 ? 503 이영광의 유비적 사고?이영광, 『직선 위에서 떨다』 ? 519 김록의 실패담?김록, 『광기의 다이아몬드』 ? 533 나그네의 은유 ? 551 영생하는 여자?이경림, 『상자들』 ? 562 잊어버려야 할 시간을 찾아서?권혁웅, 『마징가 계보학』 ? 573 김근의 고독한 판타지?김근, 『뱀소년의 외출』 ? 586 김이듬의 감성 지도?김이듬, 『별 모양의 얼룩』 ? 596 ‘완전소중’ 시코쿠?번역의 관점에서 본 황병승의 시 ? 607 위선환의 고전주의?위선환, 『새떼를 베끼다』 ? 630 유비의 감옥과 그 너머?송승환, 『드라이아이스』 ? 643 이은봉의 흥취?이은봉, 『책바위』 ? 653 상처 그리고 투명한 소통?정재학, 『광대 소녀의 거꾸로 도는 지구』 ? 666 허전한 것의 치열함?박철, 『불을 지펴야겠다』 ? 677 이문숙이 시를 쓰는 시간?이문숙, 『한 발짝을 옮기는 동안』 ? 689 불행의 편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