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Ⅰ. 창작에 대해 나와 창작 | 소설을 쓰는 이유 | 눈에 보일 듯한 문장 | 문학 좋아하는 가정에서 | 소설을 쓰기 시작한 건 친구의 부추김 덕분 | 예술 그리고 그 밖의 것 | 한 편의 작품이 완성되기까지 | 애독서의 인상 | 한문 한시의 즐거움 | 프랑스 문학과 나 | 책 이야기 | 진정성 | 장정에 대한 나의 생각 | 중국에 번역된 일본 소설 | 나의 하이쿠 수업 | 문단 잔소리 | 문장과 말 | 어느 무명작가 | 열 가지 소설 작법 | 연극 만담 | 암중 문답 Ⅱ. 문예적인, 너무나 문예적인 이야기다운 이야기 없는 소설 | 다니자키 준이치로에게 답하다 | 나 | 대작가 | 시가 나오야 | 우리들의 산문 | 시인들의 산문 | 시문학 | 두 대가의 작품 | 염세주의 | 세상에서 잊혀가는 작가들 | 시적 정신 | 모리 오가이 | 시라야나기 슈코 | 문예평론 | 문학적 미개지 | 나쓰메 소세키 | 메리메의 서간집 | 고전 | 저널리즘 | 마사무네 하쿠초의 「단테」 | 지카마쓰 몬자에몬 | 모방 |대작을 위한 변호 | 센류 | 시의 형식 | 프롤레타리아 문예 | 구니키다 돗포 | 또다시 다니자키 준이치로에게 답하다 | 야성의 부름 | 서양의 부름 | 비평시대 | 신감각파 | 해명 | 히스테리 |인생의 종군기자 | 고전 | 통속소설 | 독창성 | 문예상의 극북 | 속 문예적인, 너무나 문예적인 Ⅲ . 내가 만난 사람들 소세키산방의 가을 | 기쿠치 칸 | 모리 선생 | 소세키산방의 겨울 | 사토 하루오 | 이웃집 다바타 사람들 | 편집자 다키타 | 하기와라 사쿠타로 | 내 친구 두엇 | 선생의 장례식 주석 저자 연보 해설_소설가 호리 다쓰오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