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 /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 외

발터 벤야민
304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4.3(30)
Rate
4.3
Average Rating
(30)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는 발터 벤야민 선집에 드디어 6번째 책 중 제4권으로 이번에 출간된 책은 벤야민의 '보들레르론'에 대하여 집중 조명한다. 그가 보들레르에 관해 남긴 세 편의 글을 모두 수록함으로써 19세기 최고의 시인 보들레르를 통해 자신의 시대를 읽고자 했던, 즉 근대 대도시의 새로운 생활 방식과 그 물질적 조건을 정면으로 고찰하려는 자본주의에 대한 시각을 살펴볼 수 있다.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보헤미안', '거리산보자' 그리고 '근대성'이다. 벤야민은 보들레르라는 렌즈를 통해 19세기 파리의 신화적 지형학 속에서 움직이는 개인의 운명을 탐색한다.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는 보들레르론에 대한 철학적 요약이자 해설로 이 시선은 벤야민의 견해에 따르면 구원 없는 세계를 바라보는 근대 예술의 비극적 시선이다. 끝으로 원래 『샤를 보들레르: 자본주의 전성기 시대의 시인』에서 '시적 대상으로서의 상품'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었던 제3부의 결과물로서 남겨진 「중앙공원」에서 벤야민이 특히 관심을 기울였던 것은 보들레르 시를 특징짓는 알레고리적 시선의 역사철학적 근거였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4.3(30)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해제: 근대의 심연에서 떠오르는 '악의 꽃' ― 발터 벤야민의 보들레르 읽기 5 옮긴이의 말 31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 41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 177 중앙공원 ― 보들레르에 대한 단장 251

Description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발터 벤야민 ― 자본주의를 읽는 또 다른 새로운 시각 발터 벤야민이 다시금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가깝게는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가 그의 저서 『법의 힘』에서 벤야민의 「폭력비판을 위하여」를 통해 '법'의 문제를 새롭게 조명함으로써 그동안 문예이론가, 문예비평가 정도로만 인식되는 그를 '정치철학자'로 자리매김하였다. 최근 들어 이탈리아 철학자 조르조 아감벤 역시 그러한 점에서 벤야민을 21세기에 복원시키고 있는 또 한 명의 이론가임에 틀림없다. 여기 도서출판 길에서 야심차게 기획하여 출간하고 있는 발터 벤야민 선집(전10권)에 드디어 6번째 책 제4권이 출간되었다(그동안 제1ㆍ2ㆍ3ㆍ5ㆍ6권이 출간되었다). 이번에 출간되는 책은 벤야민의 '보들레르론'으로 볼 수 있다. 그가 보들레르에 관해 남긴 세 편의 글을 모두 수록함으로써 19세기 최고의 시인 보들레르를 통해 자신의 시대를 읽고자 했던, 즉 근대 대도시의 새로운 생활 방식과 그 물질적 조건을 정면으로 고찰하려는 벤야민의 자본주의 읽기를 접할 수 있다. 그것은 곧 벤야민 자신이 살고 있던 20세기를 역사철학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보들레르가 살았던 19세기를 20세기의 '태고사'(die Urgeschichte)로서 재구성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프랑스를 비롯해 서구에서 이미 이루어진 보들레르 수용과는 달리 '상징'이 아닌 알레고리의 미학적ㆍ역사철학적 프리즘을 통해 보들레르 시학을 분석하는 벤야민의 보들레르론에는 그의 후기 예술철학을 관통하는 '근대 비판'의 주요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 왜 보들레르인가 「보들레르의 작품에 나타난 제2제정기의 파리」는 '보헤미안', '거리산보자' 그리고 '근대성'의 세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개의 장은 정치적ㆍ사회적ㆍ경제적 상관관계들이 보들레르가 행하는 시인의 역할과 그의 텍스트에 마술환등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헤미안'은 좌절로 끝난 1848년 혁명 이후 제국주의적 복고주의의 반혁명 시기에 프랑스 사회를 맴돌던 주변인들 사이의 은밀한 소통을 분석한다. 패자가 되어 지하 세계에 숨어버렸거나 감옥에 갇혀버린 정치적 음모가, 룸펜 프롤레타리아로 전락한 노동자, 그리고 시민 계급의 신뢰를 더 이상 받지 못하게 된 상태에서 시장으로 나가 신문 문예란의 필자가 되어버린 작가와 시인이 바로 그러한 주변인들이다. 그리고 '거리산보자'는 개인이 대중 속에서 겪게 되는 충격의 경험을 죽음의 운명에 빠져버린 도시 파리의 경험과 함께 설명함으로써 보들레르 시의 내용을 당시 사회적 맥락에 위치시킨다. 마지막으로 '근대성'은 보들레르 시의 이러한 내용적 측면을 형식적 측면과 대응시킨다. 즉 충격과 죽음의 경험을 표현하는 세계관적ㆍ문화적 형식으로서 알레고리가 등장하게 된다. 보들레르라는 렌즈를 통해 19세기 파리의 신화적 지형학 속에서 움직이는 개인의 운명을 탐색하는 벤야민에게 보들레르는 이처럼 무엇보다도 근대성의 충격과 도취에 적합한 언어적 형식을 부여함으로써 현대시의 토대를 놓은 시인이다. 알레고리가 바로 이 언어적 형식으로서, 벤야민은 알레고리와 19세기 자본주의 상품 물신 사이에 구조적 유사성이 있다고 보았다. 즉 벤야민에게 보들레르는 도시적 환경에서 사는 현대인의 경험과 자기 망상에 정교한 시적 표현을 부여한 시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들레르에게 도대체 대도시 경험은 무엇이었으며, 왜 그러한 경험의 시적 언어화는 알레고리적 재현과 상징적 재현 사이에서 동요할 수밖에 없었는가, 그리고 보들레르의 시를 알레고리적으로 독해한다는 것이 유물론적ㆍ비판적 역사관을 기초로 한 벤야민의 근대 해석에서 무엇을 의미하는가. 우선 도시에서 중요한 것은 상품의 경험이 경험의 상품화를 포함하고, 새로운 것의 가상에 은폐되어 있는 폐허와 죽음의 경험이 경험의 폐허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대도시와 대도시를 채우는 대중에 대한 보들레르의 양가적 태도, 즉 소외와 매혹은 도시의 이러한 특성에 기인한다. 벤야민의 알레고리적 독법의 과제는 대도시를 채우는 '꿈꾸는 집단', 새로 등장한 이 대중을 깨워 이들이 자신의 소망과 욕망을 실현할 수 있도록, 즉 혁명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제의 구조는 대도시의 각 요소들이 마술환등적 성격을 띠게 되는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보들레르의 몇 가지 모티프에 관하여」는 바로 이러한 보들레르론에 대한 철학적 요약이자 해설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도 보들레르에 대한 벤야민의 시선은 바뀌지 않는데, 그것은 바로 해체적 시선이자 '알레고리적' 시선이다. 그리고 이 시선은 벤야민의 견해에 따르면 구원 없는 세계를 바라보는 근대 예술의 비극적 시선이다. 끝으로 원래 『샤를 보들레르: 자본주의 전성기 시대의 시인』에서 '시적 대상으로서의 상품'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었던 제3부의 결과물로서 남겨진 「중앙공원」에서 벤야민이 특히 관심을 기울였던 것은 보들레르 시를 특징짓는 알레고리적 시선의 역사철학적 근거였다. 보들레르 시에 나타나는 알레고리적 형상화는 말하자면 절정에 이른 자본주의 시대에 모든 사물이 지니게 되는 범우주적 상품 성격에 대한 일종의 응답이라는 것이 벤야민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21세기에도 유효한 벤야민의 시선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역시 그러하지 않은가. 신자유주의라는 이름 아래 자본주의는 더욱 더 자신의 영역을 인간 깊숙이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소비가 최대의 미덕이 되어버리고, 소비의 능력 자체가 인간의 주체의 위치를 판가름하는 시대가 곧 지금 아닌가. 어떻게 보면 황금시대처럼 보이지만, 인간 소외가 그 양날의 한 쪽을 나타내고 있다. 벤야민이 보들레르를 통해, 즉 19세기를 통해 20세기 자신의 시대를 읽었지만 아직도 그 독해가 21세기에도 유효함은 인지상정일 것이다.

Collection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