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서문 (알라이다 아스만) 6 강연을 시작하며 13 1. 「로마서」에 입문하게 된 자전적 계기 13 2. 유대 종교사에 있어서의 바울: 메시아적 논리 22 1부 독해: 바울과 모세, 새로운 신의 백성을 일으켜 세우다 1장 「로마서」의 수신자 38 1. 로마에 대한 선전포고로서의 복음: 「로마서」 1장 1~7절 독해 38 2. 예루살렘과 세계선교의 정당성: 「로마서」 15장 30~33절 독해 46 보유: 유대인 그리스도 신자의 운명 56 2장 노모스. 법과 정당화 : 「로마서」 8~11장 독해 60 3장 선택과 파문: 「로마서」 8장 31절~9장 5절 및 『탈무드』 b. 베라코트 32a절 독해 73 4장 프네우마. 구원사의 능가와 이 세계의 극복: 「로마서」 9~13장 독해 95 2부 결과들: 바울과 근대, 메시아적인 것의 변용 5장 이 세계 안에 있는 낯선 자들: 마르치온과 그 후계자들 132 6장 절대를 향해 결단하는 열심당원들: 칼 슈미트와 칼 바르트 147 7장 세계정치로서의 니힐리즘과 미학화된 메시아주의: 발터 벤야민과 테오도어 W. 아도르노 165 8장 『성서』 종교로부터의 탈출: 프리드리히 니체와 지그문트 프로이트 180 보론 야콥 타우베스와 칼 슈미트 사이의 역사 220 1. 들어가며 220 | 2. 1948~1978: 30년 동안 계속된 거절 223 부록 편집자 후기(알라이다 아스만, 얀 아스만, 볼프-다니엘 하르트비히) 240 편집자의 말(알라이다 아스만) 291 옮긴이 해제: 타우베스로 태어난 바울, 바울주의 294 옮긴이 후기 310 찾아보기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