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판을 내면서 5
책머리에 8
1. 문제의 제기, 『독립신문』의 일관된 이완용 찬양과 비호를 어떻게 볼 것인가
‘대한의 몇 째 안 가는 재상’ 17
2. 보잘것없는 양반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나다
우봉 이씨 시조묘를 찾아 개축한 이완용 25
3. 첫 번째 인생의 전기, 명문대가로의 입양
양부 이호준은 대원군의 친구이자 사돈 31
시문과 서예를 즐긴 전형적 조선 선비의 풍모 38
벼슬길 시작부터 세자를 가르친 온건 개화파 46
4. 두 번째 인생의 전기, 신식 교육과의 만남
이완용은 세계화 논리의 증조 할아버지 57
5. 초대 주미 공사관원으로 워싱턴에 부임하다
청국의 간섭과 험난한 부임 과정 69
서양인 남녀 승객들의 망측한 무도회 80
클리블랜드 미국 대통령을 만나다 84
서구 사회를 가장 깊이 있게 관찰한 친미파 원조 89
6. 알렌의 지원으로 30대에 학부대신이 되다
주일 전권공사 부임 거부 99
정동파의 대표로 일본세력 배격에 앞장서다 111
학부대신으로서 의무교육제도를 도입하다 116
7. 아관파천을 주도하다
대원군의 민비살해와 미국 공사관 피신 127
파천 당일 대신 감투를 세 개나 쓰다 140
8. 외부대신으로서 무더기로 외국에 이권을 넘겨주다
경인철도 부설권 허가와 뇌물수수 혐의 153
9. 서재필과 함께 독립협회를 이끌다
독립협회 위원장에 선출되다 165
외부대신직을 걸고 러시아의 군사교관 파견을 거부하다 174
만민공동회 개최 다음날 전북 관찰사로 쫓겨가다 182
공금 유용혐의로 전북 관찰사에서 해임당하다 192
10. 매국의 길로 들어서다
8년 만의 학부대신 재입각 197
을사조약에 찬성하다 203
엄귀비 방으로 뛰어든 한규설 212
보호조약의 최고 책임자는 고종이다 222
11. 이토를 대신해 고종을 퇴위시키다
이토의 추천으로 총리대신이 되다 229
“황실과 나라를 지키는 길은 양위밖에 없다” 237
12. 이토 암살에 넋을 잃고
황태자의 소사(少師)가 되다 255
‘며느리와 사통했다’ 삼척동자도 노래 불러 263
서울시 일원에 사흘간 가무음곡 금지명령 270
13. 이재명 의사의 칼을 맞다
일진회의 합방 주장에 반대하다 275
대한의원 입원실에서 맞은 ‘경술년’ 새해 아침 280
14. 이름뿐인 나라마저 일제에 넘겨주다
“그물 속으로 물고기가 뛰어 들어왔다” 287
15. 총독정치에 적극 협력하다
일본 천황과 조선 왕실에 똑같이 충성을 바치다 297
3·1운동과 동족을 향한 협박 305
16. 학교비 납부 거부 소동과 여론의 집중 비난
조선 귀족 중 민영휘 다음의 두 번째 재산가 317
17. 화려한 장례식, 고종 국장 이후 최대의 장례 행렬
생전의 영광이 죽어서도 이어지다? 327
18. 이완용만 매국노인가
비열한 책임전가와 역사의 이지메 337
이완용 관련 연표 343
참고문헌 347
찾아보기 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