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추천사 6 머리말 9 1부 심리부검: 죽은 자가 말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 1. 의문의 추락사 - 심리부검의 탄생 19 2. 욕실에서 죽다 - 죽은 자의 변호인 23 3. 수상한 동거녀 자살 사건 - 법심리부검의 가능성과 한계 26 4. 대학교수의 노름빚 15만 달러 - 완전범죄를 깨뜨리다 30 5. 빨간 편지지 - 어색한 자살 34 6. 그를 처벌해 주세요 - 한국 최초의 심리부검 40 7. 죽음의 얼굴을 본 사람들 - 본능적 저항 43 8. 동반 자살은 없다 - 자살자의 공간 48 9. 무연고 독거 노인 자살 - 보이지 않는 보호자 52 10. 퇴직 노인 자살 사건 - 가족에 대한 마지막 배려 57 11. 네 번의 악몽 - 자살 임박 신호가 보인다 60 12. 의부증 주부 자살 사건 - 정신과 치료 거부의 위험성 63 13. 치정 살인과 자살 - 억울한 자와 억울한 척하는 자 68 14. 노무현 대통령의 가짜 유서 - 세 가지 열쇠 74 15. 성적 수치심에 의한 자살 - 원인 제공자를 찾아라 77 16. 어느 부상 퇴직자의 자살 - 산재 보상과 법심리부검 80 17. 트렁크의 시체 - 보험사의 새로운 무기, 심리부검 84 18. 수영장의 의문사 - 배심원은 ‘미망인과 고아’를 동정한다 87 19. 스트립 댄서로 내몰린 소녀 - 학대 사건과 심리부검 90 20. 아버지는 괴물 - 강력한 증거가 되다 93 21. 세무 공무원 자살 사건 - 한국 최초의 증거 채택 96 2부 심리부검 보고서: 여섯 명의 사례 Case 1. 사이코패스에게 죽다 - 김장미 씨 위장 자살 살인 사건 107 Case 2. 보이지 않는 인간 - 트랜스젠더 자살 사건 119 Case 3. 이 학교를 빠져나가야 한다 - 입시 실패 자살 사건 137 Case 4. 출생의 비밀 - 여고생 김진희 양 자살 사건 153 Case 5. 3중의 자살 - 직장 따돌림 자살 사건 168 Case 6. 돼지 울음소리가 들려요 - 축산인 차지현 씨 자살 사건 183 3부 자살의 유형과 문제들 1. 급성 스트레스 자살 유형 - 인격 모욕과 아파트 경비원의 분신 201 2. 만성 스트레스 자살 유형 - “마지막 집세와 공과금입니다” 204 3. 적극적 자해 시도 자살 유형 - 남편의 폭력에 맞선 아내의 자해 206 4. 정신분열 자살 유형 - 알코올 중독과 통제력 상실 209 5. 고위험 사례 1 - 최진실 자살 사건 214 6. 고위험 사례 2 - 장국영 자살 사건 220 7. 고위험 사례 3 - 정다빈 자살 사건 223 8. “그렇게 자살할 수도 있죠” - 허 일병 의문사 사건 228 9. 심리부검 위원회의 설치 - 클린턴의 친구 빈센트 포스터 사건 233 10. 유족의 아픔을 치유하는 심리부검 - 초등학생의 자살과 남겨진 어머니 238 4부 유서의 해부 1. 유서의 계량 분석 - 이은주의 유서 243 2. 대다수가 쓰지 않는다 - 너무나 적은 유서들 248 3. 같이 등장하는 말 - 다섯 가지 영역 252 4. 연결의 정지 - 유서와 일반 텍스트의 차이 256 5. 나와 우리 - 자살한 시인의 언어 259 6. 외로움, 짐, 무기력 - 세 가지 주제 262 맺음말 269 자료: 심리부검 프로젝트 ① 심리부검 프로토콜 273 ② 주요 심리부검 어젠다 288 ③ 고위험군 프레임워크 상세 기준 296 ④ 자살 의도 평가 질문지 299 ⑤ 법심리부검 보고서 300 주 305 찾아보기 313 프로파일러의 돋보기 주저흔과 방어흔 46 목을 맨다 66 각국의 자살 예방 노력 99 뒤르켐과 자살 유형 211 연예인과 자살 226 군의문사와 법심리부검 231 포크너의 소설 분석 266 나도 자살할 위험이 있을까? (앞면지) 자살 위험 체크리스트 (뒷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