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송찬호 · Poem
132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2(77)
Rate
3.2
Average Rating
(77)
2008년 미당문학상을 수상한 송찬호 시인의 네 번째 시집. 신화적 자연주의에 주목하고, 삶에서 잘 포착되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에 다가서기 위해 '부드러운 통합적 대화론'을 개척해온 시인의 사유가 이번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에 이르러 시인 '자신의 일상 속에서 자신의 시점과 어법'으로 드러나고 있다. 시인은 자신의 삶 주변에서부터 동화를 재발견하려 한다. 이미 유형화된 상업적 동화나 문명의 입구에서 안내자 역할을 맡은 그러한 동화가 아니라, 전혀 새로운 동화를 말이다. 시인의 '겨울 동화'는 차갑게 현실의 구조들을 장악한 권력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그리고 자연의 무서운 기세를 불러오고 있다.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Rating Graph
Avg3.2(77)

[9주년] 해피 젝시 데이!

젝시믹스 9주년 기념 ~80% 빅 세일

젝시믹스 · AD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시인의 말 제1부 옛날 옛적 우리 고향 마을에 처음 전기가 들어올 무렵, 나비 채송화 황사 꽃밭에서 봄 기록 반달곰이 사는 법 칸나 고양이 가방 염소 촛불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 제2부 민들레역 찔레꽃 동사자 늙은 산벚나무 고래의 꿈 오월 코스모스 만년필 토란 잎 복사꽃 살구꽃 가을 빈집 깜부기 삼촌 제3부 겨울 실연 초원의 빛 종달새 오동나무 소나기 소금 창고 손거울 전남교 벚꽃 사과 맨드라미 단풍 속으로 제4부 패랭이꽃 개나리 나팔꽃 우체국 백일홍 일식 사과 겨울의 여왕 당나귀 코끼리 유채꽃 기린 산토끼 똥 해설 | 고양이의 철학 동화·신범순

Description

차갑게 얼어붙은 세상에서 부글거리며 끓어오르는 잉크의 늪 문학평론가 김춘수는 2000년의 초입에 발간된 <붉은 눈, 동백>의 해설에서 “존재 구현의 유일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매혹될 수밖에 없지만 언제나 ‘부패’하는 언어의 불완전성에 대한 인식이 그의 언어적 자의식을 자극하고 있고 그 결과 그는 ‘인공예술’을 지향하는 ‘장인 정신’으로 자신을 무장하게” 되었다고 송찬호 시인에 대해 평한 바 있다. “현실과 인간의 실존적 조건에 대한 한계 의식”과 “실존과 언어의 괴리에 대한 도전”을 시적 화두로 삼아 “자신의 시적 인식을 실험”해온 시인 송찬호는 “언어적 자의식과 시의 본질에 관한 집요한 사유”로 “그의 시적 내력 안에서 스스로의 한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만들어”냈는데, 그것은 등단 20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그의 시를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낯익지만 그래서 더욱 새로운 그만의 시 세계를 선사한다. 전작 <붉은 눈, 동백> 이후 9년이라는 긴 시간이 흐른 지금, 다시금 독자들에게 찾아온 송찬호의 네번째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이 반가울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번 시집으로 인해, 송찬호는 등단 후 20여 년 동안 네 권의 시집을 펴낸 시인이 되었다. 두번째 시집이 나오기까지가 5년, 그 후 세번째 시집이 나오기까지가 또 6년, 그리고 9년이 지난 지금 마침내 또 하나의 시집을 펴냈으니, 작품의 의미가 비단 시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그 한 권 한 권에 들인 애정과 정성은 남달랐으리라. 그래서일까? 송찬호 시인의 새 시집을 기다린 눈썰미 있는 독자라면, 이 시집이 시인의 전작들과 비교해 약간 두꺼워졌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총 4부로 나뉘어 실린 52편의 시. 그러나 작품에 대한 기대는 그 물리적인 풍요로움보다 더 클 것이다. 그리고 송찬호는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전통적인 감각과 언어로 가을의 서정을 노래한 작품”인 「가을」은 2008 미당문학상을 수상하며 평단의 호평은 물론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다. “요즘 시에서는 좀처럼 만나기 힘든 소리와 운율의 미학이 특별한 수준에서 성취되어 있”어 “매력적”이라는 것이 심사위원들의 반응이었다. 이 작품은 또한 “복고적 감각”과 더불어 “현실이 상실한 미학을 복원해 보여주는 언어 미학은 뜻밖의 전위성을 담고 있”으며, 이것은 시인의 “옛날식 언어유희 추구”와도 닿아 있다는 평을 듣기도 했다. 이 작품 외에도 허수경 시인은 이번 시집에 실린 「기록」을 두고 “시인은 코끼리 역사의 사관이 되어 역사의 뒤안에서 부스러지고 망가지고 그리고 빛나는 존재들의 비의(秘意)를 기록한다. 얼마나 아플까, 비의의 사관이 되어 역사 속을 헤메는 시인은”이란 짧은 글로 이 시에 대한 느낌을 전하기도 했다. 송찬호의 전작들은 세상의 한켠에 조용히 도사리고 있는 아름다움의 힘과 그 실체를 낯선 이미지들로 그려내었다. 이번 시집의 해설을 맡은 문학평론가 신범순은 바로 그 이전 작품에서 신화적 자연주의에 주목한다. 그리고 삶에서 잘 포착되지 않는 상징적인 존재에 다가서기 위해 “부드러운 통합적 대화론”을 개척해온 송찬호 시인의 사유가 이번 시집 <고양이가 돌아오는 저녁>에 이르러 시인 “자신의 일상 속에서 자신의 시점과 어법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신범순은 또한 “동화적이고 신비스러운 마법적 상상력을 풀어내면서” “나비와 고양이, 반달곰과 눈의 여왕, 가란과 고래, 코끼리, 칸나, 채송화, 살구꽃 같은 것들”에 대해 우리의 마음속에 대고 조곤조곤 말하는 시인의 작품이 어린 시절에 보았던 동화를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하고, 그러나 그의 시가 비단 그러한 순진한 욕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설파한다. 오히려 시인의 동화적 상상력과 언어는 “이 차갑게 얼어붙고 오염되어 쓰레기터처럼 변하는 세상에서, 부글거리며 끓어오르는 잉크의 늪에서 솟구”친다는 것이다. 그리고 특히 「만년필」에서 “거품 부글거리는 이 잉크의 늪에 한 마리 푸른 악어가 산다”는 부분을 인용하여 “그 푸른 악어를 깨워내는 것이 그의 이번 시집에 실린 시들이”라고 역설한다. 이성에 의해 갇힌 세계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아이들에게 남은 신화적 물줄기를 깨우는 일을 자신의 삶 주변에서 동화를 재발견 하는 것으로 수행하는 송찬호 시인의 이번 시집에서 우리는 시인의 끓어오르는 잉크의 늪에 살고 있는 푸른 악어를 만나게 될 것이다. 그 악어는 “늪의 생명력을 강력하게 도전적으로 표출”하며 “자연의 무서운 기세를 불러”온다. 작은 것이 부르는 거대한 힘이 그의 시 한 편 한 편에 오롯이 담겨 있다. 꽃을 소재로 한 시가 여러 편이지만 “고운 봄날/이 거친 시집을/꽃 피는 시집으로 잘못 알고/찾아오는 나비에게 오래 머물다 가진 마시라고” 전하는 시인의 말은, 바로 이러한 점을 염두해둔 작은 경고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는, 여전히, 아름답다. 시집 소개 송찬호는 자신의 삶 주변에서부터 동화를 재발견하려 한다. 이미 유형화된 상업적 동화나 문명의 입구에서 안내자 역할을 맡은 그러한 동화가 아니라, 전혀 새로운 동화를 말이다. 그의 ‘겨울 동화’는 차갑게 현실의 구조들을 장악한 권력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그리고 자연의 무서운 기세를 불러오고 있다. 시인이 쓰는 산문(뒤표지 글) 근래 내가 쓰다 만 시 중에 「쑥부쟁이」라는 것이 있다. 내가 살고 있는 집 뒤에 이웃 동네로 넘어가는 작은 고개가 있는데, 가을이면 길 양쪽으로 쑥부쟁이가 지천이다. 나는 이 쑥부쟁이 시를 써보기로 했다. 쑥부쟁이에 대해 떠오른 착상으로, 먼저 ‘쑥부쟁이 비빔밥’과 ‘쑥부쟁이 파스’가 있었다. 쑥부쟁이에서 맑은 가을 이슬과 햇살과 바람을 넣어 만든 고소한 비빔밥 냄새가 나는 것 같았고, 고단한 일상에 소염 진통 효과가 있는 파스 향이 나는 것 같기도 했다. 나는 「쑥부쟁이」라는 제목 아래 두 편의 시를 완성했다. 그러나 그 두 편 모두 마음에 드는 시가 아니었다. 쑥부쟁이에 적당히 삶을 위무하고 세상을 다독이는 말을 얹어 시는 무난하게 나왔지만 거기에는 새로움이 없었다. 그리고 이미 그런 유(類)의 시를 여러 번 쓴 적이 있어, 반복되는 시의 습관이 싫기도 했다. 하여, 이렇게 시 쓰기의 갈등 관계에서 태어난 시. 나는 그것을, 폐기되거나 다시 씌어져야 할 운명으로서, 그 시가 완성본이라 하더라도 ‘쓰다 만 시’로 분류할 수밖에 없다. 돌아보면, 내가 쓰다 만 시가 어디 「쑥부쟁이」뿐인가. 나는 「쑥부쟁이」를 다시 고쳐 쓸지도 모르겠다. ‘쑥부쟁이 촌장’이나 ‘쑥부쟁이 모자’로 아예 다르게 말할지도 모르겠다. 나는 시집을 냈다는 핑계로 한동안 긴장이 풀어질 게 분명한데, 앞으로 내 시는 유행이나 새로움에도 주눅 들지 않고 구름처럼 가벼워지기만을 바랄 뿐이다.

Collections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