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신양반사회의 도래 1장 양반은 누구인가? 거꾸로 읽는 교과서 한국사 조선 후기 상품화폐경제의 발달?│직조와 염색기술의 쇠퇴│조선 후기에 양반은 격증했는가? ‘양반’은 문화적 개념이다 유교적 통치 이데올로기│‘아무개 자손’: 도덕성의 세습│양반답게 살기 친일청산: 역사바로세우기 유교적 역사관│홍범도와 봉오동 전투│예우법과 평등주의│‘독립운동 정신’: 북한과의 비교│맺는말 양반과 부의 축적 토마스 홉스의 ‘자연’과 유교적 경제관│‘아무개 자손’과 중국의 ‘입향조’│일하지 않는 양반│농업경영인으로서의 조선 전기 양반 유교적 평등경제와 ‘한정된 재화의 이미지’ 양반사회와 전문가 입향조 박정희 박정희의 “잘살아보세”와 김구의 ‘문화의 힘’│‘주식회사 한국’의 창업주│‘일하는 정부’: 관료조직을 움직인 박정희│문화적 갈등│농촌 여성의 역사 인식과 새마을 운동 2장 우리에게 조상은 무엇인가? ‘혈연’은 보편적으로 존재하는가? 양반사회의 정치와 친족│‘혈연’은 문화적 관념체 한국에만 존재하는 ‘본관’ 본관의 의미│조상 찾기 운동│조상은 공적인 존재│민족주의적 역사관 종법제 중국 고대의 종법제│조선의 종법제│개인주의에서 집단주의로: 가족문화의 변화│공적 영역으로서의 가족: 입신양명│여성과 서얼의 차별│부계종족 ‘파’의 형성│수신제가치국평천하 수양대군을 변호하며 대통령과 가족 3장 여론정치와 시민단체 ‘위원회’와 시민단체 조선의 ‘위원회 통치’ 지방유림의 공론정치 유림의 향권 장악│준관직자로서의 지방유림│지방 리더십의 부재│조상 만들기와 초종족적 연망사회│무엇이 민주주의인가? 더 읽기∥신양반사회의 상상력 ―영화 〈기생충〉 ―드라마 〈오징어 게임〉 계급사회│성기훈: 공동체적 인간│'지옥' 같은 현실│〈오징어 게임〉은 보편적인가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