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

강봉희 · Humanities
22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4(8)
Rate
3.4
Average Rating
(8)
20년 가까운 세월 동안 죽은 이들의 곁을 지키며 그들의 마지막을 함께했던 어느 장례지도사의 기록이다. 40대 중반, 암에 걸려 저승의 문턱에서 가까스로 돌아온 저자 강봉희는 그때부터 죽음을 돌보는 일을 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2004년부터 700여 명의 고독사 사망자들과 기초수급자 고인들의 장례를 아무런 보상도 없이 도맡아왔다. 2020년, 모두가 감염의 공포에 질려 코로나 사망자 시신에 손을 대려 하지 않을 때는 제일 먼저 병원으로 달려가 시신을 수습하기도 했다. 저자는 오늘도 외롭게 죽은 이들의 시신을 염습하고, 장례식장과 화장장과 납골당을 오가면서 그들의 한 많은 넋을 기린다. 『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는 오래도록 죽은 이들의 마지막을 목격했던 그가 들려주는 죽음과 장례의 의미, 삶과 인간에 관한 길고 긴 성찰의 궤적이다.
Rating Graph
Avg3.4(8)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서문 1부 당신의 죽음은 안녕하십니까 1 나는 산 자가 아닌 죽은 자를 위해서 일한다 2 20여 년 전 저승의 문턱에 다녀온 뒤 3 죽은 몸을 돌보는 일에 관하여 4 시신은 돌아가신 후 말을 한다 5 코로나 사망자들의 마지막을 수습하며 1 6 코로나 사망자들의 마지막을 수습하며 2 7 이 땅 위에 연고가 없는 사람은 없다 1 8 이 땅 위에 연고가 없는 사람은 없다 2 9 사람이 혼자 살 수 없는 동물이라면 10 삶과 죽음은 하나의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11 죽음을 끈으로 묶는다는 것은 12 무엇을 입고 죽을 것인가 13 우리는 누구나 아기의 얼굴로 죽는다 14 죽은 뒤에 리무진을 타면 무엇 하나 15 장례는 산 사람들의 놀음이기에 2부 죽음의 곁에서 생각했던 것들 16 내가 처음 죽은 몸을 닦아드리던 그날 17 장례지도사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18 장례식, 절대로 업체에 휘둘리지 말라 19 핏줄이란 무서운 것이다 20 배려의 시작은 ‘자주’에 있다 21 유산과 상속에 관하여 22 가족은 그들을 잊을지라도, 우리는 23 내가 잊지 못하는 그 공무원 24 죽음에는 국경이 없다 25 베이비붐 세대가 가장 나쁜 인간들이었다 26 제사란 무엇인가 27 명당은 ‘좌택시 우버스 1분’이라는 걸 잊지 말길 28 전통과 형식보단 인간에 대한 존중이 먼저다 29 어른이 사라진 시대, 교육이 사라진 시대 30 내가 바라는 나의 죽음

Description

아무도 돌보지 않는 죽음의 마지막 목격자, 그가 우리를 향해 말해주는 죽음과 장례의 의미 “나는 산 자가 아닌 죽은 자를 위해서 일한다” 아무도 코로나19 사망자의 시신을 수습하려 하지 않을 때, 누구보다 먼저 병원으로 달려가서 죽은 사람의 곁을 지키던 한 사람이 있다.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자기가 앞장서서 700여 명의 무연고 고독사 사망자, 기초수급자 사망자의 장례를 대신 치러준 사람이 있다. 이 세상에서 ‘외롭고 쓸쓸하게 죽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길 바라는 마음으로 힘겹게 살다 죽은 자의 마지막을 지키고, 그들의 임종을 목격했던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강봉희이고, 그의 직업은 장례지도사다. 과거에는 ‘염장이’라 불렸던 그 일을 하는 사람이다. 그는 고인의 육신을 깨끗하게 닦아드리고, 가지런히 정돈된 시신에 수의를 입힌 후 염포로 묶어 입관을 준비한다. 또 영안실과 장례식장부터 화장이나 매장하는 곳까지 유족들과 함께하면서 장례를 전체적으로 주관한다. 한 사람이 숨을 거둔 뒤에도, 그가 흙으로 돌아가기 전까지는 아직 죽은 이를 위해서 할 일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의 저자 강봉희는 어디서 돈이나 무엇을 받고 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그저 자기가 좋아서 한다. 함께 대구가톨릭대 평생교육원의 장례지도학과를 수료했던 후배들의 도움을 받아, 어떤 물질적인 보상도 없이 이 일을 계속해왔다. 그런 덕에 그는 아무 연고도 없이 외롭게 죽음을 맞이한 사람들, 돈이 없어 유족들도 장례를 꺼리는 사람들의 마지막을 지킬 수 있었다. 아무리 가진 게 없고 주위의 관심을 받지 못했던 분일지라도 죽은 뒤에 이 사회의 짐이 되지 않기를 바라며, 누구든 돌아가셨을 때 기본은 해드리자는 마음을 갖고서. 20여 년 전 저승의 문턱에 다녀온 뒤, 장례지도사의 일을 하기로 결심하며 그가 이 일을 해온 지 어느덧 17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는 바로 그토록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는 저자 강봉희가 그동안 죽은 이들을 위해 일하면서 느끼고 생각했던 모든 것들이 담겨 있다. 영안실에서, 또 현장에서 시신을 만나는 게 자연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그는 산 자와 죽은 자들에 관해서 어떤 생각을 갖고 있을까? 그는 시신을 만지면서 우리에게 무슨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어 할까? 그가 생각하는 인간다운 삶, 인간다운 죽음은 무엇일까? 책의 저자 강봉희가 장례지도사의 일을 시작하게 된 계기도 평범하진 않다. 그는 1996년 사십 대 중반의 나이에 방광암에 걸려 병원에서 시한부 삼 개월을 선고받았다. 그로부터 몇 년간 투병과 재발을 반복하는 고통스러운 과정 끝에, 저자는 자신의 만약 살아서 병원 밖을 걸어 나간다면 정말로 인간답게 살아보겠노라고 마음먹는다. 돈 때문에 전전긍긍하지 않고, 남과 다투지 않고, 다만 자기가 좋아하는 것만 하며 살아가겠노라고. 그때 저자의 눈에 들어온 것은 병실의 창문 너머로 보이는 장례식장이었다. 매일처럼 시신이 오가는 장례식장 앞의 풍경을 바라보며, 그는 죽은 사람을 위한 봉사를 해야겠다고 결심한다. 죽은 사람의 몸, 시체에는 누구도 손을 안 대고 싶은 게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누군가는 저기서 저 일을 하고 있다. 세상 사람들이 가장 꺼리는 일이지만, 누군가는 해야 마땅한 일이고, 이 세상에서 가장 필요하고도 존엄한 일이다. 그는 암에서 완쾌된 뒤 장례지도사가 된다. 강봉희는 그게 죽을병으로 몇 년 동안 죽네 사네 하다가 간신히 살아 돌아온 자신이 누군가를 위해 베풀 수 있는 유일한 일인 것 같았다고 고백한다. 고독사에 관한 그의 전언, 그리고 코로나란 비극에서 인간의 죽음을 생각하다 그랬던 그가 가장 마음 아파하며 신경을 쓰고 있는 건 무연고 고독사의 시신이다. 이 땅 위에 연고가 없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만, 누군가의 연고자 혹은 주위 이웃이 외면하고 방치하는 죽음이 급격히 늘어나는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2021년 한 해에만 고독사로 생을 마감한 사망자가 삼천 명이 넘을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그가 수습하는 고독사 시신의 숫자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그래서 지난 몇 년간 많은 언론과 방송에서 그에게 고독사 문제에 관하여 여러 의견을 구한 바 있다. 그렇지만 그는 누군가가 고독하게 죽었다며 호들갑을 떨지 말라고, 우리 사회를 향해 목소리를 높인다. 사망 후 몇 달 지난 뒤 발견되었다고 거기 카메라를 들이대지도 말라고 비판한다. 살아 있었을 때부터 관심도 못 받고 잊혀버린 사람이 고독하게 죽었다고 사회적으로 떠들썩하게 구는 것은, 삶과 죽음을 뚝 떼어놓고 다른 선으로 바라보는 일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린 그가 살아 있을 때 그를 잊지 않을 수 있었고, 홀로 죽지 않게 그를 돌볼 수 있었다. 일이 벌어진 후 기사를 쓰거나 이론을 줄줄 읊기보단 행동부터 하라고, 주위에 그런 분들이 계시는 것 같다면 연락이나 자주 하라고, 찾아뵙기나 좀 하라는 것이 그의 전언이다.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죽은 사망자들의 시신을 가장 먼저 수습했던 일 또한 우리 사회가 그를 주목하게 했다. 코로나가 대구에 번지던 2020년 2월, 감염에 대한 공포로 어느 장례식장에서도 코로나 사망자들의 시신에 손을 대지 않으려 하던 그때 그는 대구시청의 간절한 부탁을 받고 병원으로 달려간다. 삼일장(三日葬)은커녕 죽은 시신을 가족이 마지막으로 보지도 못하는 죽음의 현장을 접하며, 그는 자기 예순여덟 평생에 그러한 비극은 처음이었다고 털어놓는다. 그리고 그 경험은 인간이 죽음을 대하는 법, 인간과 장례의 의미에 관해서 그 뿌리부터 다시 생각하게 하며, 사람은 그렇게 죽어서는 안 된다는 다짐을 되새기게 했다고 밝힌다. ‘삶과 죽음은 결코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다’ 죽음의 곁에서 길어 올린 따뜻한 성찰들 이 책 『나는 죽음을 돌보는 사람입니다』에는 고독사 문제와 코로나 시신의 수습뿐만 아니라, 죽음과 장례에 관한 모든 과정과 그에 대한 성찰이 구체적이고 꼼꼼하게 기술되어 있다. 저자가 염습대 위에서 시신을 정결하게 돌보고 사후경직된 시신의 몸을 풀어드리는 과정, 돌아가신 분들이 자기 몸에 남긴 흔적들의 이야기, 고인들에게 입혀드리는 수의(壽衣)에 관한 이야기, 고인의 몸을 장례식장에서 화장장으로 옮기며 그가 생각했던 것들, 우리는 모두 아기의 얼굴로, 아기의 표정을 하고 죽는다는 것, 죽은 이들의 유족을 찾고, 그 유족들의 이야기를 듣고, 망자(亡者)를 향한 슬픔 혹은 원한을 풀어드리는 일 등등…. 무엇보다도 그는 삶과 죽음을 끊어놓는 우리 문화를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죽음을 천대하는 우리 조상들의 역사는 결코 짧은 것이 아니었다. 과거에 백정이 염(殮)을 했고, 죽음을 다루는 업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천한 직업이었다. 죽은 이들의 산소를 저 먼 동네의 산꼭대기에 마련해두고, 귀신이 산 사람에게 오지 못하게 시신을 꽁꽁 싸매두었던 것도 같은 맥락이다. 모두 죽음을 안 좋은 것, 피해야 할 것, 마치 하나의 금기처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화장장이나 납골당이 시내 한가운데에 있는 일본이나 주요 도시의 한복판에 공동묘지가 조성된 미국처럼, 우리도 죽음을 삶과 떨어뜨려 놓고 생각하는 이 문화를 점점 더 없애나가야 한다. 우리 조상들이 딱 끊어놓은 생졸(生卒)이지만, 이제부터라도 붙이면 된다. 저자는 그 둘이 같이 가야 모두가 편해질 것이라고 확신한다면서 자신이 생각하는 죽음과 삶의 이야기들을 따뜻하게 풀어놓는다. 젊은 장례지도사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장례식장에 절대로 휘둘리지 않는 방법들, 그리고 명당에 관해서, 가족에 관해서, 유족과 상속에 관해서, 핏줄에 관해서, 제사와 공동체에 관해서, 국경 없는 죽음에 관해서,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사라져버린 어른의 역할에 관해서…. 그가 2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죽음의 곁에서 길어 올린 여러 단상들

Collection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