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옮긴이 서문 제1부 실체에서 인간 개체로 : 코나투스와 자연권 1장_ 실체에서 개체성 일반으로 2장_ 분리 : 초보적 개체성과 경쟁적 우주 3장_ 외적인 통일 : 복합적 개체성과 조직된 우주 4장_ 내적 통일로 : 의식적 개체성과 내면화된 우주 제2부 분리 : 소외된 개체성과 자연 상태 5장_ 정념적 삶의 토대와 전개 개인적인 정념적 삶의 토대(A1군) │개인의 정념적 삶의 전개(A2군) │인간 상호적인 정념적 삶의 토대들(B1군) │인간 상호적인 정념적 삶의 전개(B2군) │경탄이 정념에 빠진 삶에 미치는 반향들(A′2, B′2, A′1, B′1군) │결론 : 자연 상태와 중세적 세계 6장_ 이성의 상대적 무력함 선악에 대한 참된 인식 │이성과 정념들(C, D, E, F, G군) │문제 7장_ 이성적 삶의 토대 개인적인 이성적 삶의 토대(A1군) │인간 상호적인 이성적 삶의 토대들(B1군) │결론 : 정치적 매개의 필요성 제3부 외적 통일 : 정치사회와 지도된 소외 8장_ 자연 상태에서 정치사회로 자연권에 대한 세부 설명 │자연 상태에 대한 세부 설명 │사회계약 │ 국가 일반의 구조 9장_ 분리 : 소외된 정치사회와 분열된 개체성 역사, 혹은 사회체의 정념들 │집단의 무력함 │집단적 균형의 기초 10장_ 순전히 외적인 통일 : 신정의 난관과 잘 조직된 야만 11장_ 내적 통일을 향해 : 자유 국가와 문명화된 개체성 집단적 평형의 실현 : 자유 군주정 │집단의 역량 : 중앙집권적 귀족정 │연방제적 귀족정에서 민주정으로 : 완벽한 국가를 향해 │결론 : 자유 국가와 이성 제4부 내적 통일 : 해방된 개체성과 현자들의 공동체 12장_ 이성적 삶의 전개 개인적인 이성적 삶의 전개(A2군) │인간 상호적인 이성적 삶의 전개(B2군) 13장_ 이성의 역량 정념의 축소(C군) │첫번째 단계(F, D, E군) │두번째 단계(G군) 14장_ 영원한 삶의 토대와 전개 개인적인 영원한 삶의 토대(A1군) │인간 상호적인 영원한 삶의 토대(B1군) │개인적인 영원한 삶의 전개(A2군) │인간 상호적인 영원한 삶의 전개(B2군) │결론 『윤리학』의 구조를 보여 주는 세피로트 도식 참고문헌 부록 1988년판에 부쳐 대담_ 스피노자에 대하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