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보면 한국이 보인다

심훈
240p
Where to buy
content
Rate
3.4
Average Rating
(4)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최악의 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원전사고를 겪은 일본은 이 재난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지난 1년간 일본이 재난에 대처하고 사고를 처리하는 모습은 한편으로 존경스럽고 한편으로 실망스럽고 한편으론 보는 사람을 의아하게 했다. 심훈 교수는 일본의 이런 독특함을 ‘생존 투쟁’이라는 화두로 설명한다. 이 책은 태풍과 홍수로부터 목숨을 건지기 위해, 지진과 쓰나미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사무라이들의 칼과 군부 정권의 폭정으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부끄러움’과 ‘죄책감’ 속에 ‘축소지향적인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던 일본인들의 슬픈 역사를 담고 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여는 글 하늘 天 01. 태양의 눈물 02. 바람아 멈추어다오 : 태양의 제국? 태풍의 제국! 03. 비와 홍수 이야기 04. 이상한 나라의 일본인들 땅 地 05. 그냥 섬나라가 아니다 06. 지진 이야기 07. 일본은 소국이고 한국은 대국이다 08. 판도라 상자의 마지막 희망, ‘온천’ 09. 그때그때 다른 나무 사랑 이야기 10. 사쿠라를 보면 일본이 보인다 사람 人 과거 11. 역사는 돌고 돈다 12. 저주받은 자연에 맞선 방패막이, ‘신토’ 13. 태조 이성계의 재발견 : 사무라이 이야기 I 14. 세기말 폭력 만화가 현실이었다: 사무라이 이야기 I I 사람 人 현재 15. 일본은 공산국가다 16. 주는 대로 드세요 17. 바벨탑을 쌓는 사람들 사람 人 미래 18. 한자 이야기 19. 열도를 구원하는 것은 ‘사랑’ 20. 유전대학 무전가업 참고문헌

Description

일본 문화의 독특성은 ‘생존 투쟁’의 역사에서 비롯되었다! ‘하늘, 땅, 사람’ 세 가지 주제로 보는 일본 그리고 일본인 “역사에 가정이 없다지만 ‘만일’이라는 질문은 언제나 역사학자와 역사학도들을 흥분시킨다. 그렇다면, 여기서 드는 궁금증 하나. ‘만일’ 일본이 우리나라와 연결되어 있었다면? 아니면, 한반도 아래 일본이란 섬나라가 아예 없었더라면? 혹시, 한국이 오늘날의 일본이 되지는 않았을까?” _ 본문 중에서 최악의 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원전사고를 겪은 일본은 이 재난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지난 1년간 일본이 재난에 대처하고 사고를 처리하는 모습은 한편으로 존경스럽고 한편으로 실망스럽고 한편으론 보는 사람을 의아하게 했다. 심훈 교수는 일본의 이런 독특함을 ‘생존 투쟁’이라는 화두로 설명한다. 이 책은 태풍과 홍수로부터 목숨을 건지기 위해, 지진과 쓰나미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사무라이들의 칼과 군부 정권의 폭정으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부끄러움’과 ‘죄책감’ 속에 ‘축소지향적인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던 일본인들의 슬픈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책은 하늘, 땅, 사람, 세 가지 주제로 보는 ‘일본인 생존 보고서’ 때로는 ‘나’를 들여다보기보다 타인을 통해 ‘나’를 반추해 보는 게 더 도움이 될 때가 많다. 일본은 우리에게 그런 나라다. 이 책은 그러한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저자의 일본 해석은 깊고 내밀한 방식으로 펼쳐진다. 세계일보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한 전직 언론인의 촘촘한 더듬이에다가, 학자로서 다진 역사와 철학에 대한 학문적 깊이가 더해졌다. 이 책은 태풍과 홍수로부터 목숨을 건지기 위해, 지진과 쓰나미로부터 탈출하기 위해, 사무라이들의 칼과 군부 정권의 폭정으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부끄러움’과 ‘죄책감’ 속에 ‘축소지향적인 삶’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던 일본인들의 슬픈 역사를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지구상의 가장 열악한 환경 속에 살아남기 위해 약탈했고, 살아남기 위해 배신했으며, 살아남기 위해 따돌렸고, 살아남기 위해 복종했으며, 살아남기 위해 박수(신토 사상의 가장 중요한 의식)를 쳐야 했던 일본인들의 생존 보고서라 할 수 있다. 이 책 내용은 크게 하늘(天)과 땅(地), 그리고 사람(人)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고로 동양에선 천, 지, 인의 세 가지 기운이 한데 어울려 사람을 만든다고 보았다. 이름 하여 삼재(三才) 사상이 그것. 이에 따라 저자는 옛 선조들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우리네와 달리 범상치 않은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들을 가졌던 일본을 삼재 사상에 기대어 풀어보았다. 신간 출간의의 일본 문화를 이해하는 새로운 키워드, ‘생존 투쟁’ 이 책은 저자가 ≪세계일보≫에 2009년 9월부터 2011년 3월까지 1년 7개월에 걸쳐 ‘심훈 교수의 일본을 보면 한국이 보인다’라는 제목으로 연재한 칼럼을 모아 가다듬은 것이다. 2009년부터 1년간 저자가 가족과 함께 일본에 체류하면서 직접 겪은 여러 가지 일들을 기록하되, 단순한 스토리텔링에 그치지 않고 저널리즘의 측면에서 날카롭게 분석하였다. 이는 단순히 관찰만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1년 동안 출퇴근을 하고 아이들을 등교시키고 휴일을 즐기고 말 그대로 가족과 사회 구성원으로 일본인의 삶 속에 함께했던 경험이 바로 깊이 있는 분석의 토대가 되었다. 저자의 일본 문화 해독 코드는 ‘생존 투쟁’이라는 키워드에서 출발하고 있다. 미국의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가 그녀의 저서 『국화와 칼』을 통해 일본 문화의 정수(精粹)를 ‘부끄러움’과 ‘죄책감’에서 보았고, 반일(反日) 세대인 이어령 교수가 ‘축소지향’에서 일본적 특징을 찾았다면, 필자는 ‘생존 투쟁’에서 일본 문화의 독특성을 논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가깝고도 먼 이웃, 일본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게 될 것이다.

Collection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