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적 환경주의자

비외른 롬보르
1104p
Where to buy
content
Rate
4.2
Average Rating
(5)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회의에 빠져 있는 한 환경주의자의 저작이다. <회의적 환경주의자>는 지구의 환경이 점점 더 악화되고 있다는 많은 사람들의 믿음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던진다. 그린피스 회원이기도 했던 지은이는 많은 환경 단체들이 과학적 증거를 임의적으로 선택하고 오용하는 것에 비판적이다. 그는 국제 연구 기관에서 구할 수 있는 엄선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전세계 주요 언론매체가 머리기사로 크게 다루곤 하는 환경 문제를 살펴보고 있다. 전문용어 대신 쉬운 말로 자신의 주장을 펼쳤으며 독자가 자료 출처를 알 수 있도록 2,900여개의 주를 달았다. 그는 현실의 문제와 씨름하기 위해 냉철한 정신으로 자원 활용의 우선순위를 새롭게 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현실 환경문제를 다른 시각에서 파악함으로써 환경운동 단체와 언론 매체가 예상하는 불안한 미래와 결별한다. 언론이나 환경단체와는 달리 그에게 미래는 낙관적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옮긴이 해제 서문 언어와 도량형 감사의 말 제1부: 너무나 뻔한 이야기들 1. 상황은 개선되고 있다 뻔한 이야기의 반복 상황은 개선되고 있다-그러나 아직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사실의 과장과 바람직한 관리 기본 요소: 진행의 추세 기본 요소: 범지구적 추세 기본 요소: 장기적 추세 기본 요소: 왜 중요한가? 기본 요소: 인간의 판단 현실 대 허구 현실: 월드워치연구소 현실: 세계자연보호기금 현실: 그린피스 현실: 그릇된 통계와 경제학 현실: 물 문제 현실: 피멘텔 교수와 인류의 건강 문제 I 현실: 피멘텔 교수와 인류의 건강 문제 II 현실 대 현란한 수사법, 형편없는 예측 현실 현실과 도덕 2. 왜 좋지 않은 뉴스뿐일까 과학적 연구 조직과 단체 언론 매체 균형을 잃은 현실: 산발적이지만 예측 가능한 보도 균형을 잃은 현실: 나쁜 소식 균형을 잃은 현실: 갈등과 죄책감 결과 제2부: 인류 복지 3. 인류 복지 상태의 측정 지구 인구는 과연 얼마나 되나 변화하는 인구 통계 인구 과잉 4. 기대 수명과 건강 기대 수명 개발도상국의 기대 수명 영아 사망률 질병 결론 5. 식량과 기아 문제 맬서스와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기아 문제 그 어느 때보다 식량이 풍족하다 그 어느 때보다 가격이 낮아졌다 녹색혁명 지역적 분배: 아프리카 지역적 분배: 중국 결론 6. 번영 빈곤과 분배 불평등이 계속 커진다고? 여전히 가난하다고? 더 많은 소비재 교육의 확산 더 많은 여가 시간 더 안전하고 안정적이다 재난과 사고는 줄고 있다 7. 제2부의 결론: 유례가 없는 인류의 번영 제3부: 인류 번영은 지속될 수 있을까 8. 우리는 빌려온 시간을 살고 자원-복지의 근원 9. 미래에 식량은 충분한가 적어도 한 사람에게 돌아가는 곡물량은 감소하고 있다 하락하는 생산성 수확량의 한계? 일반 농부들의 현황 높은 성장률이 여전히 필요한가 식량 이월분이 떨어지고 있다 중국의 장래 과연 토양 침식은 우려할 만한 수준인가 물고기들은 결론 10. 삼림은 사라지고 있는가 삼림과 역사 삼림 남벌: 일반적인 시각 삼림 남벌: 얼마나 되고 있나 삼림은 얼마나 있는가 결론 11. 에너지 우리 문명은 에너지에 기반을 두고 있다 계속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에너지가 충분한가 석유 위기 석유가 얼마나 남아 있는가 낙관론자들과 비관론자들의 논쟁 과거 어느 때보다 석유가 풍부하다 다른 화석 에너지원 원자력 에너지 재생 가능 에너지 태양 에너지 풍력 저장과 이동성 소비 결론 12. 비에너지 자원 비관론자들이 자원 고갈에 내기를 걸다 떨어지는 물가 시멘트 알루미늄 철 구리 금과 은 질소, 인, 칼륨 아연 다른 자원 우리는 왜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자원을 갖게 되었는가 결론 13. 수자원 얼마나 많은 물이 존재하는가 세 가지 중심 문제 물이 충분하지 않다고? 미래에는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인가 물 분쟁이 격화될 것인가 결론 14. 제3부의 결론: 지속적인 번영 제4부: 오염이 인류 번영을 가로막고 있는가 15. 대기 오염 과거의 대기 오염 무엇이 위험한가 분진 납 아황산가스 오존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그럼 개도국들은? 성장과 환경 결론 16. 산성비와 삼림의 죽음 17. 실내 공기 오염 개발도상국의 실내 공기 오염 선진국의 실내 공기 오염 18. 알레르기와 천식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