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 깊고 어두운 마음의 심층을 향하여 들어가는 말 : 마음의 구조와 심혼의 자리 페르조나(외적 인격)와 나 내적 인격, 아니마/아니무스 원형과 아니마, 아니무스 무의식의 구조와 자기, 자기실현 집단적 남성관과 여성관, 아니마/아니무스 제1장 아니마, 아니무스란 무엇인가? 1. 융의 아니마 아니무스론 - 인격분리와 심혼의 현상 - 남성심리와 여성심리 - 남성과 여성의 무의식적 측면 - 아니마, 아니무스 2. 아니마, 아니무스에 관한 여성분석가들의 이론 - 마리 루이제 폰 프란츠의 이론 - 엠마 융의 아니무스론 - 토니 볼프의 '여성 마음의 구조적 형태' 제2장 한국인의 꿈에 나타난 아니마, 아니무스상 꿈에 대하여 피분석자의 꿈에서 제3장 밖에서 보는 한국인의 아니마, 아니무스상 남녀관계 속에서의 아니마, 아니무스 사회현상으로서의 아니마, 아니무스의 투사 제4장 정신과 임상에서 보는 아니마, 아니무스 문제 부부의 갈등 우울과 좌절 동성애 물질남용 사랑의 병(상사병)과 애정망상 질투와 질투망상 전이, 역전이 제5장 한국문화에 나타난 아니마, 아니무스상 1. 심혼의 노래 2. 민간 전승을 통해 본 아니마, 아니무스 현상 - 무속의 세계 - 민담의 세계 - 전통 종교사상과 여성성 맺음말 -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