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1부 다시 생각하는 '역사란 무엇인가?' 1장 역사란 무엇인가 : E. H. Carr의 역사관을 넘어서기 위한 하나의 시론 2장 기억과 망각 사이의 역사 : 역사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을 위하여 3장 역사와 시간 : 크로노스(chronos), 템푸스(tempus) 그리고 카이로스(kairos) 제2부 '언어로의 전환'은 역사학의 반역인가? 4장 역사적 사실과 '언어로의 전환' 5장 '언어로의 전환'에서 '문화로의 전환'으로 : 프랑스 혁명의 정치 문화사를 중심으로 제3부 포스트모던 역사를 옹호하며 6장 포스트모던과 열린 역사학 7장 미시사 : 하나의 '포스트 모던' 역사서술? 8장 역사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해악과 유용성 제4부 영화와 역사와 만날 때 9장 오늘의 역사학은 왜 영화와 만나야 하는가? 10장 한국식 '가족 로망스'와 영화 <거짓말> : 한국 사회의 무의식을 역사화 하는 신문화사를 기다리며 11장 영화 <박하사탕>을 보며 역사에 대해 생각한다 : 역사의 진보와 개인의 비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