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보라

박지일 · Poem
196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6(31)
0.5
3.5
5
Rate
3.6
Average Rating
(31)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202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첫 시집 『립싱크 하이웨이』를 통해 기이한 꿈속과도 같은 세계를 구축해 내며 존재감을 드러낸 박지일 시인의 신작 시집 『물보라』가 민음의 시 326번으로 출간되었다. 신작 시집 『물보라』는 우리의 현재를 불시에 습격하고 압도하는 과거의 슬픔과 고통 들을 오래도록 응시하고 세밀하게 기록하는 시인만의 관찰 일지다. 「물보라」라는 동명의 시 스물한 편으로 시작되는 이번 시집은 기억의 물방울 안에 어떤 인물과 사건이 깃들어 있는지, 그리고 이 모든 시들이 어떤 시간 속에서 쓰였는지에 대한 시편들로 이어지며 끝내 시 너머 삶 쪽으로 흘러넘친다. 삶에서 시 쪽으로, 시에서 삶 쪽으로 부딪치다 흩어지는 물보라에 대한 이 기록은 물 밀 듯 밀려드는 기억의 홍수에 잠겨 있는 독자들에게 든든한 부표가 되어 줄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6(31)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물보라 13 물보라 15 물보라 17 물보라 18 물보라 19 물보라 20 물보라 22 물보라 23 물보라 24 물보라 25 물보라 26 물보라 27 물보라 28 물보라 30 물보라 31 물보라 33 물보라 34 물보라 37 물보라 38 물보라 40 물보라 42 하염없이 무엇을 생각합니다 「물보라」 45 위리안치 75 「물보라」 우수리 편 81 매일 자정 이코마 산에서 「투실솔: 만날 수 없는 만남; 물보라와-물보라와-물보라와-」를 매질하는 모리나가 유우코 씨 94 「물보라」와 상관없는 Thomas De Quincey 102 「물보라」를 위한 사전설문조사: 12월 17일 14:17~14:52 경복궁역 3-1번 출구 110 투실솔: 만날 수 없는 만남; 물보라와-물보라와-물보라와- 112 『물보라』를 위한 부록, 일지, 참고 노트, 혹은 함께 이어 볼 이야기 11月 1日 117 11月 1.3日 118 11月 2日 119 11月 2.4日 120 11月 3日 121 11月 3.1日 122 11月 4日 123 11月 4.3日 124 11月 5日 125 11月 5.9日 126 11月 6日 127 11月 6.4日 128 11月 7日 129 11月 7.2日 130 11月 8日 131 11月 8.9日 132 11月 9日 133 11月 9.7日 134 11月 10日 135 11月 10.8日 136 11月 11日 137 11月 11.3日 138 11月 12日 139 11月 12.6日 140 11月 13日 141 11月 13.8日 142 11月 14日 143 11月 14.6日 144 11月 15日 145 11月 15.3日 146 11月 16日 147 11月 16.4日 148 11月 17日 149 11月 17.8日 150 11月 18日 151 11月 18.7日 152 11月 19日 153 11月 19.4日 154 11月 20日 155 11月 20.1日 156 11月 21日 157 11月 21.7日 158 11月 22日 159 11月 22.9日 160 11月 23日 161 11月 23.4日 162 11月 24日 163 11月 24.5日 164 11月 25日 165 11月 25.8日 166 11月 26日 167 11月 26.2日 168 11月 27日 169 11月 27.4日 170 11月 28日 171 11月 28.9日 172 11月 29日 173 11月 29.3日 174 11月 30日 175 11月 30.1日 176 발문-신종원(소설가) 177 추천의 글-채호기(시인) 187

Description

물보라처럼 예측할 수 없이 튀어 오르는 슬픔과 고통, 그리움의 파편들 2020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후, 첫 시집 『립싱크 하이웨이』를 통해 기이한 꿈속과도 같은 세계를 구축해 내며 존재감을 드러낸 박지일 시인의 신작 시집 『물보라』가 민음의 시 326번으로 출간되었다. 박지일 시인은 2021년, 2024년 문지문학상 ‘시’ 부문 후보에 선정되는 등 꾸준히 평단과 독자의 신뢰를 받아 왔다. 신작 시집 『물보라』는 우리의 현재를 불시에 습격하고 압도하는 과거의 슬픔과 고통 들을 오래도록 응시하고 세밀하게 기록하는 시인만의 관찰 일지다. 「물보라」라는 동명의 시 스물한 편으로 시작되는 이번 시집은 기억의 물방울 안에 어떤 인물과 사건이 깃들어 있는지, 그리고 이 모든 시들이 어떤 시간 속에서 쓰였는지에 대한 시편들로 이어지며 끝내 시 너머 삶 쪽으로 흘러넘친다. 삶에서 시 쪽으로, 시에서 삶 쪽으로 부딪치다 흩어지는 물보라에 대한 이 기록은 물 밀 듯 밀려드는 기억의 홍수에 잠겨 있는 독자들에게 든든한 부표가 되어 줄 것이다. ■ 물보라의 불안과 초조 펜은 바람 위에다가 너를 써 갈기며 달아난다. 질주하라. 질주해! 그곳에 너는 없고, 물보라, 물보라. 걸음을 옮기려 들 때마다 고꾸라지길 반복하는 멧닭만이 있다. ―「물보라」에서 시집 『물보라』를 펼치면 스물한 편의 「물보라」가 시작되고 또 이어진다. 물보라가 ‘물결이 바위 따위에 부딪쳐 사방으로 흩어지는 자잘한 물방울’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스물한 편의 「물보라」는 튀는 모양새가 불규칙적이라는 점에서 조금씩 다른 얼굴을 하고 있지만 모두 같은 물방울이기에 서로 닮은 구석이 있다. 「물보라」는 하나같이 망설인다. “열거나, 열지 않거나, 선택을 어찌해야 하긴 하는데…” “네게 너는 주도권이 없는 것” 같기에, 어렵게 마음먹은 다짐은 다음 문장에서 곧바로 전복되고, 정과 반을 어지러이 헤매던 화자는 결국 고꾸라지고 만다. 채찍질하는 목소리(“질주하라. 질주해!”)에 움직이지 않을 수 없는 그는 어느 방향으로든 일단 달려 보기를 결심하지만 이내 넘어지기를 끝없이 반복한다. 불안하고 초조하여 끝없이 움직이되 곧장 넘어지는 물보라. 우리의 삶을 머나먼 곳에서 비춰 본다면, 그 양상은 어쩌면 물보라의 그것과 닮아 있을지 모른다. ■ 불시에 튀어 오르는 기억 너는 할 일을 마쳤고, 네가 썼던 글이 너를 기억하려 든다; 밀려가는 파도 있을 것이니, 밀려오는 파도 있을 것이라고. 당연한 것만 말하고 싶고, 당연한 것이라도 말하고 싶다고. 제발. 다 옛날 일이다. 다 옛날 일인데. ―「「물보라」」에서 물보라의 불규칙성, 무작위성은 기억의 속성과 닮았다. 불시에 떠오른 기억이 하루를 덮쳐 올 때마다 우리는 그것에 꼼짝없이 사로잡히고 마는데, 이 사로잡힘은 일생 내내 지속되는 하나의 숙명과도 같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억은 뿌연 안개처럼 흐려지기도 하지만, 머릿속에서 거듭 재구성되며 자신의 존재를 새로이 드러낸다. 그리고 물보라처럼 무작위로 우리를 급습하는 기억은 대개 슬프고, 고통스럽고, 하염없이 애틋하다. 스쳐 지나간 사람들, 다시는 볼 수 없는 사람들, 꿈이 많았던 사람들, 나의 거울과도 같았던 사람들은 시인으로 하여금 그들에 대해 쓰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그럴 때면 내가 기억에 대해 쓰는 것이 아니라, 내가 “썼던 글이 너를 기억하려” 드는 것만 같다. 화자는 자신의 기억이 정확한지 계속해서 의심하고 다시 쓰면서 튀어 오른 물보라를 오래도록 바라보려 한다. ■ 늘려 놓은 시간 안에서 오래도록 바라보기 너는 거울을 납치하여 등에 업고 날아오른다. 너는 물구나무 한다. 네 긴 머리카락이 손잡이처럼 흔들린다. 세상이 뒤집히고 열차는 순환한다.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 ―「11月 9.7日」에서 불확실한 기억을 보다 정확하게 세공하는 일에는 물론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기억은 희미하고, 그것이 우리를 찾아오는 순간은 찰나에 불과하기에 시인은 시간을 무한히 늘려 기억을 보다 자세히 관찰하고자 한다. 11월 서른 개의 하루 사이사이 박지일은 ‘9.7일’과 같은 중간 날짜를 끼워 넣는다. 그러자 11월은 60일이 된다. 60일이 된 11월은 어쩌면 90일, 120일로 무한히 늘어날 수도 있다. 시간을 무한히 늘리는 행위를 통해 박지일은 물보라의 방울마다 스며 있는 기억과, 기억이 품은 슬픔과 그리움을 관찰기를 쓰듯 자세히 기록한다. 이것은 시인이 과거의 기억을 잘 다스리고 소화하여 현재를 기꺼이 살아 내려는 분투의 한 방식이다. ““생각”보다 살아 냄이 실행되어야 한다. 그 고투의 기록이 이 시집이다.”라는 채호기 시인의 말처럼 시집 『물보라』는 현재에 겨우 존재하는 한 사람의 생존 일지와도 같다. 박지일이 기록해 낸, 물방울만큼 작고 자세한 슬픔들은 우리가 각자의 슬픔을 다루는 데 있어 좋은 참고서가 되어 줄 것이다.

Collections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