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며 누구나 쓸 수 있다 1장. 쓸 게 없어서 어려워 쓰기 이전의 ‘취재’와 ‘사고법’ - ‘자기 이야기’를 쓰지 않아도 된다 - ‘쓰기’ 이전에 ‘취재’가 있다 - 댐에 물을 저장하듯 메모하자 - ‘쓰기’ 전에 ‘듣기’ 기술을 배워라 - 처음부터 ‘완벽’을 바라지 않는다 - 글감을 묵혀서 숙성한다 - 쓰지 못하는 원인은 ‘자의식’이 90퍼센트? 1장 요약 이렇게 하면 글감 때문에 고민할 일이 없다 TIP 1 모든 것은 ‘기획’에서 시작한다 2장. 전달되지 않아서 어려워 ‘이해하기 쉬운 글’의 기본 - ‘이해하기 쉬운 글’의 단 한 가지 조건 - 한 문장은 짧을수록 좋다 - 문장을 에스프레소처럼 쓰면 안 된다 - 삭제할 수 있다면 최대한 삭제한다 - ‘글 디자인’을 생각한다 - ‘논리적’이란 즉 ‘알겠다’는 것 - 독자의 ‘전제 지식’을 고려한다 - ‘결론’을 먼저 말한다 - ‘중심’이 잡힌 글인가 2장 요약 이렇게 하면 문장이 전달된다 TIP 2 취재와 집필을 할 때 편리한 7가지 도구 3장. 읽어주지 않아서 어려워 글을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는’ 방법 -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글을 ‘읽어주지 않는다’ - ‘쓰고 싶은 것’과 ‘읽고 싶은 것’은 다르다 - 타깃을 설정하는 문제 - ‘순진무구한 작가’와 ‘심술궂은 편집자’ - ‘자기 일’이 될 만한 주제를 고른다 - 독자에게 그 글을 읽을 ‘동기’가 있는가 - 사람이 모이는 ‘맥락’에 콘텐츠를 둔다 - 좋은 글은 독자에게 보내는 ‘러브레터’ 3장 요약 이렇게 하면 내 글도 읽힌다 TIP 3 문장력이 있으면 의뢰나 교섭도 술술 풀린다 4장. 재미없어서 어려워 상품이 될 ‘재미있는 글’은 이렇게 만든다 - 정보’만으로는 가치가 없다 - 재미있는 글은 ‘공감이 80퍼센트, 발견이 20퍼센트’ - 그 글에 ‘하이라이트’가 있는가? - ‘고유명사’로 매력을 높인다 - ‘서두’에서 선제 주먹을 날린다 - 글의 수준을 한 단계 높여주는 도구들 - ‘비유’의 달인이 되자 - ‘순서를 바꾸기’만 해도 인상이 달라진다 - 제목은 0.2초 승부 4장 요약 이렇게 하면 글이 재미있어진다 TIP 4 악용 금지! 사람을 세뇌하는 문장을 만드는 법 5장. 계속하지 못해서 어려워 쓰기가 ‘습관’이 되는 방법 - 스키 타는 법을 알려주는 책을 읽어도 스키는 못 탄다 - 팔로워는 최강의 ‘편집자’ - 트위터로 얻는 다양한 이점 - ‘비전’을 그린 뒤 글을 올린다 - ‘재미있는 잡지’ 같은 계정을 목표로 - 믿음이 가는 프로필을 만든다 5장 요약 이렇게 하면 쓰는 습관을 갖출 수 있다 TIP 5 글쓰기에 집중하게 해주는 10가지 필승법 6장. 글을 쓰면 인생이 달라진다 ‘어려워’ 그 너머의 새로운 나 - 지금은 ‘쓸 수 있는 사람’이 유리한 시대 - 다양화 시대에 ‘나의 존재를 표현하는 일’ - 누군가가 나를 알아주면 ‘일’이 찾아온다 - 부업·N잡러도 우선 ‘쓰기’부터 6장 요약 이렇게 하면 쓰는 것이 즐거워진다 TIP 6 당신이 경영자(광고 종사자)라면 이런 걸 쓰면 좋다 마무리하며 글로 이 세상을 움직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