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책을 펴내며 _ 5
총론: 아카이브와 콘텐츠, 콘텐츠와 아카이빙 _ 11
제1부 아카이빙의 이해 _ 25
1-1. 아카이브와 아카이빙 27
1. 기록, 레코드, 아카이브 27
2. 기록 관리와 아카이빙 · 32
3. 기록 관리의 기본 원칙 34
1-2. 아카이빙의 과정 39
1. 생산과 등록 · 39
2. 선별과 평가 · 42
3. 기록의 조직화 · 50
1-3. 아카이빙 사례 : 마을기록관 · 55
1. 마을문화의 활성화와 밑으로부터의 기록 55
2. 마을기록관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 57
3. 마을기록관에 무엇을 남길 것인가 · 60
4. 마을기록관을 어떻게 활용하고 운영할 것인가 · 61
제2부 콘텐츠의 이해 _ 65
2-1. 콘텐츠, 문화산업 67
1. 콘텐츠란 무엇인가? 67
2. 문화와 문화산업 73
2-2.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81
1. 그림에서 문자로 표현 발전된 스토리텔링 · 82
2. 이야기와 스토리텔링 83
3. 기록이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87
4. 아날로그 아카이브에서 디지털 아카이브로 90
5. 디지털 기록과 스토리텔링 93
6. 기록 활용과 스토리텔링 사례 · 96
2-3. 라키비움과 기록 전시 · 105
1.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탄생 105
2. 라키비움의 가능성 106
3. 다양한 라키비움 기관과 전시 · 107
2-4. 아카이브 큐레이션과 콘텐츠 · 121
1. 기록의 주체와 역사 서술 121
2. 시민 기록과 아카이브 큐레이션 · 123
3. 기억+기록 콘텐츠 125
2-5. 기억과 기록, 그 매체로서의 기록영화 · 137
1. 기억과 기록 · 137
2. 기록 매체론 · 141
2-6. 감독으로서 바라본 기록영화의 사회적 역할
- 4가지 작품을 중심으로 · 147
1. 기록영화 제작의 실제 · 147
2. 4가지 작품들을 통해 본 기록영화의 사회적 역할 147
제3부 아카이빙과 콘텐츠의 실제 _ 155
3-1. 웹기록 콘텐츠 · 157
1. 기록정보 콘텐츠 157
2. 기록정보 콘텐츠 구축 사례 163
3-2. 개인 맞춤형 서비스 · 181
1. 개인화 서비스 개요 · 181
2. 개인화 서비스 유형 · 182
3. 추천 시스템 · 184
3-3. 소셜미디어 아카이브와 콘텐츠 활용 189
1. 소셜미디어란? · 189
2. 소셜미디어의 실재와 콘텐츠 활용 · 196
3-4. 방송 아카이브와 데이터 저널리즘 223
1. 영상의 역사와 변천 · 223
2. 디지털 영상을 정리하기 · 233
3. 동영상 분석하기 244
4. 인공지능과 영상 250
5. 종합 정리 · 254
3-5. 디지털 아카이브즈 · 263
1. 디지털 아카이브와 정보기술 263
2. 디지털 아카이브와 인공지능 268
3. 인공지능 기술을 통한 보존과 활용 273
찾아보기 _ 2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