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아카이브 콘텐츠 아카이빙』 책을 펴내며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연구 지원 사업인 <<HUFS 특성화 사업>>의 지식콘텐츠학부 프로그램 개선 및 교재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이는 콘텐츠학에서 아카이브와 아카이빙의 기록학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속에서 이루어졌다. 기록학과 콘텐츠학의 융합을 통해 학문의 새로움과 풍성함을 추구했다. 예를 들어, 기록학은 콘텐츠학을 통해 그 활용성을 더욱 높이고 콘텐츠학은 기록학을 통해 탄탄한 기반을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을 확고히 했다. 기록학과 콘텐츠학의 관계와 그 의의에 대해서는 이 책의 첫 장인 총론에서 자세히 다룬다. 기획 과정에서 지식콘텐츠학부 운영위원회 선생님들께서 큰 노고를 쏟아주셨다. 깊이 감사드린다. 이 책이 전문 연구가들, 일반인 그리고 학부 학생들은 물론 대학원생들에게 이 분야의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아울러 이 분야를 위한 좋은 책들을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것을 약속한다. 본서의 집필을 위해 한국기록과정보·문화학회 회원이시면서 한국외대 인문대학 정보·기록학 융합전공 및 대학원 정보·기록학과, 인문대학 지식콘텐츠학부에서 강의 하시는 선생님들께서 많은 수고를 해주셨다. 특히, 이 저자 선생님들 가운데서 편집위원으로 위촉되신 선생님들께서 열정을 쏟아 주셨고 한상진 선생님께서는 최종 원고 정리 편집 일을 도맡아서 해 주셨다. 이 자리를 빌어 저자 선생님들, 편집위원, 특히 한상진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이렇게 좋은 책을 만들어 주신 한국외대 지식출판원의 김민정 선생님을 비롯 여러 선생님들께도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7. 8. 저자들을 대표하여 노명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