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들어가는 말1부. ‘너도 말하라’ - 말하는 주체1장. 말하는 인간, 호모 로쿠엔스(Homo Loquens)1. 무엇이 우리를 인간으로 만드는가?“오뒷세우스의 노래”목소리(phone)와 말(logos) 사이의 간극2. 말하는 주체활동적 삶(vita activa)의 인간적 조건노동, 작업, 행위행위와 언어의 장소: 사람들 사이(in-between)사멸하는 인간의 불멸하는 이야기3. 말할 수 있는 자격언어의 공공성과 말 없는 경험수행적 발화와 참여의 경계내부의 ‘무국적자’말할 수 있기 위해서 먹어야 한다는 것2장. 서사 정체성 1. 삶과 이야기의 관계“삶은 이야기다”행동의 묘사, 미메시스(mimesis)텍스트의 전후: 세 층위의 미메시스텍스트 형상화 이전(以前): 경험세계의 이야기적 특징형상화 이후(以後): 이야기 읽기2. 서사 정체성실존의 조건: 시간의 아포리아(aporia)시간의 자리, 현재서사 정체성말하기의 에토스3. 윤리적 주체화서사 정체성의 윤리적 의미‘좋은 삶’이라는 목표와 ‘더불어 살기’라는 조건2부. ‘그림자를 드리운 말’ - 듣기의 윤리1장. 전달 (불)가능성 1. 말할 수 없는 경험폭력의 재현 불가능성그럼에도 말해야 한다는 책무와 불안문채(figure)와 실증성레비의 절망2. 낯선 언어언어 난민“언어는 남는다”“나는 단 하나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나의 것이 아니다”단절과 문화적 소외낯선 모국어, 그리고 약속으로서의 말하기[보론] 번역에 대하여번역자의 과제벤야민의 ‘번역’ 개념순수언어와 타락바벨신화와 번역번역 가능성2장. 다른 목소리 듣기1. 서발턴의 말하기서발턴 역사 쓰기: “이야기하도록 허용하기”“우리의 말이 우리의 무기입니다”인식소적 폭력 아래에서, “서발턴은 말할 수 없다”2. 서발턴 여성의 말은 들릴 수 있는가?이중구속된 언어인식소적 폭력과 서발턴 여성의 말하기들리지 않는 목소리3. 경계에서 사이를 듣기침묵을 헤아려 듣기 위해서듣기 위한 윤리3장. 환대 공간의 언어1. 이방인의 현상학누가 이방인인가?낯선 이물음을 던지는 자공동체 질서의 교란자2. 이방인의 권리환대권, 칸트의 ‘영구 평화론’으로부터환대권의 모호성3. 조건부 환대, 관용관용(tolerance)의 제도화관용의 역설관용을 해체해야 하는가?4. 절대적 환대의 이념조건부 환대, 관용의 자기 배반무조건적인 환대의 이념위험한 환대5. 환대 공간에서의 권력 관계환대할 수 있기 위해서: 누가 말하는가?환대와 젠더절대적 환대의 이념6. 정의의 환대법에서 정의로, 또는 정의의 권리에 대하여정의의 아포리아듣기의 윤리와 정의의 환대3부. ‘떠도는 말’을 따라 - 응답하기 1장. 취약성에 응답하는 한 줌의 도덕 1. 관계적 정체성윤리적 경청의 조건주체화에 개입하는 타자성오뒷세우스의 역설?타자와의 관계에 위탁된 나의 이야기독특한 고유성에 닿기 위한 물음, ‘너는 누구인가?’2. 불투명한 주체언어 규범주체화의 거점이자 한계인 신체서사의 한계와 주체의 불투명성3. 취약성에 응답하기윤리적 폭력 비판취약성(vulnerability)이라는 공통의 현실2장. 정의로운 응답하기 1. 정의에 대하여부정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정의의 분배 패러다임분배 패러다임 비판억압과 지배2. 정의에 대한 책임구조적 부정의책임의 사회적 연결3. 우정과 연대응답하기우정과 연대맺는 말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