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사고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예발트 일리옌코프
332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4.2(6)
0.5
4
5
Rate
4.2
Average Rating
(6)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서양 근대 철학사에서 변증법적 논리학이 어떻게 발전했고, 어떻게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절정에 이르렀는지 추적한 책이다. 1부 "변증법의 역사"는 데카르트의 합리론부터 헤겔의 변증법에 이르는 철학사를 다루며, 관념론적 전통의 핵심과 그 한계를 지적한다(포이어바흐의 헤겔 비판도 덧붙인다). 2부 "마르크스주의의 변증법"은 변증법에 유물론을 결합시킨 논리학을 다루며, 마르크스·레닌의 사상적·방법적 공헌을 되새긴다. 철학의 전통적 주제인 인간의 사고, 즉 존재와 사고의 관계 문제는 마르크스 이전에는 형이상학적?선험적 논리학의 문제였다. 그러나 마르크스는 유물론적 변증법으로 접근해, 논리학이 인간의 사고가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하는지에 관한 문제이고, 나아가 자연과 사회 역사의 변화 과정에 대한 체계임을 논증한다. 즉, 유물론과 결합된 변증법적 논리학은 과학적 인식과 실천적 활동의 방법인 것이다. 이런 철학에 깊이 파고들어서 마르크스와 레닌처럼 결국 세상을 변화시키는 일에 활용하려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유용할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4.2(6)
0.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책을 펴내며 옮긴이 머리말 1990년판 옮긴이 머리말 서론 1부 변증법의 역사 1장 논리학의 주제와 근원: 데카르트와 라이프니츠 2장 실체의 속성으로서의 사고: 스피노자 3장 논리학과 변증법: 칸트 4-1장 논리학의 구조적 원리(이원론 혹은 일원론): 피히테 4-2장 논리학의 구조적 원리(이원론 혹은 일원론): 셸링 5장 논리학으로서의 변증법: 헤겔 6장 논리학의 구성원리 재론 - 관념론인가 유물론인가?: 포이어바흐 2부 마르크스주의의 변증법 7장 객관적 관념론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의 비판 8장 논리학의 주제로서의 사고에 관한 마르크스주의의 입장 9장 논리학이 변증법 및 유물론적 인식론과 일치함에 관해 10장 변증법적 논리학의 범주로 본 모순 11장 변증법에서 보편의 문제 결론 후주

Collections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