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의 역사 읽기

359p
Where to buy
content
Rating Graph
Avg 3.4(17)
0.5
3.5
5
Rate
3.4
Average Rating
(17)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독일 카를스루에 공과대학에서 정기적으로 개설되었던 매체 이론 입문 강의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개론서이다. 한 학기에 공부할 수 있는 분량으로 쓰여진 이 책은 일반교양과 미디어 관련 전공 수업 교재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무엇보다 이 책의 장점은 간략하고 쉬운 설명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우리가 사는 사회와 매체의 관계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다. 200여 장의 이미지 자료가 수록되어 직관적인 이해를 도와주며, 매체가 등장한 연대순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읽기에도 좋으며, 관심 있는 주제만 따로 발췌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전문적, 철학적인 매체 이론을 소개한 책은 이미 상당수가 존재하지만, 이 책만큼 다양한 매체에 관한 복잡한 테마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입문서 성격의 책을 찾아보기란 그리 쉽지 않다. 이 책은 매체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개관하는 데 훌륭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Rating Graph
Avg 3.4(17)
0.5
3.5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Comment

1

Table of Contents

서문 제1부 이론의 기초 1장 의사소통 이론과 기호 이론 1. 의사소통 이론 | 2. 기호 이론 | 3. 연습문제 | 4. 참고문헌 2장 매체 개념 1. 보편적인/광의의 매체 개념 | 2. 기본적인 기호학적 매체 개념 | 3. 기술적인 매체 개념 | 4. 사용된 감각 통로에 따른 구분 | 5. 의사소통의 범위와 조직에 따른 구분 | 6. 커뮤니케이션사회학적, 조직사회학적 매체 개념 | 7. 매체 디스포지티브 | 8. 연습문제 | 9. 참고문헌 제2부 언어 기반 매체의 발전 3장 구술성과 문자성 1. 구술성 | 2. 문자성 | 3. 문자성의 사회적 영향 | 4. 상이한 매체적 맥락에서의 구술성과 문자성 | 5. 연습문제 | 6. 참고문헌 4장 텍스트, 책, 인쇄 1. 텍스트 | 2. 책 | 3. 도서관 | 4. 인쇄 기술과 그 결과 | 5. 연습문제 | 6. 참고문헌 5장 신문, 잡지, 공론장의 성립 1. 신문 | 2. 잡지 | 3. 대중매체와 공론장 | 4. 연습문제 | 5. 참고문헌 6장 언어와 이미지 1. 음성언어 | 2. 문자 | 3. 이미지 | 4. 유럽에서의 이미지성과 텍스트-이미지 관계의 역사적 변화 과정 | 5. 양식 개념 | 6. 연습문제 | 7. 참고문헌 제3부 19세기 이후 근대 기술 매체의 발전 7장 사진 1. 사진으로의 발전 | 2. 사진의 업적 | 3. 직업으로서의 사진과 대중 현상으로서의 사진 | 4. 기록사진과 예술사진 | 5. 디지털화의 결과 | 6. 사진에서 영화로 | 7. 연습문제 | 8. 참고문헌 8장 영화 1. 영화관 시설 | 2. 영화 기술의 발전 | 3. 영화 매체 안에서의 구별 | 4. 영화의 혼종성 | 5. 몽타주 | 6. 다양한 극영화 장르의 형성 | 7. 스타 시스템 | 8. 작가 영화 | 9. 연습문제 | 10. 참고문헌 9장 라디오와 텔레비전 1. 라디오 | 2. 텔레비전 | 3. 연습문제 | 4. 참고문헌 10장 디지털 매체 1. 컴퓨터 | 2. 인터넷 | 3. 연습문제 | 4. 참고문헌 11장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 1. 멀티미디어 | 2.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미디어 | 3. 매체 융합 | 4. 연습문제 | 5. 참고문헌 제4부 매체사의 상위 양상 12장 자기반영과 상호 매체성 1. 자기반영 | 2. 상호 매체성 | 3. 연습문제 | 4. 참고문헌 13장 매체 세계와 매체 현실 1. 세계, 세계상, 생활 세계 | 2. 이미지, 시뮬레이션, 가상현실 | 3. 연습문제 | 4. 참고문헌 14장 매체의 이용과 매체의 영향 1. 매체의 이용 | 2. 매체의 영향 연구 | 3. 특수한 해석 모델: 매체와 폭력의 관계 | 4. 연습문제 | 5. 참고문헌 매체사 연표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

Collections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