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라이벌리즘

이세형
175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9(14)
Rate
3.9
Average Rating
(14)
미국 트럼프 정부 시기 중동에는 전에 없었던 사건들이 일어났다. 2020년 9월 성사된 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의 외교 관계 정상화가 대표적이다. 이스라엘이 걸프 지역 국가와 수교한 것은 건국 이래 처음이다. 그러나 미국과 이란의 관계, 이란과 사우디의 대립 구도를 모르면 이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 저자는 중동 정세를 이해하는 키워드로 국가 간 라이벌 관계를 제시한다. 대립 구도를 알면 종교에서 정치, 경제까지 다양한 갈등이 얽힌 중동 정세를 해부할 수 있다. 중동은 한국에 중요한 시장이자 미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이 외교·안보 전략을 펼치는 장이다. 바이든 미 대통령 당선자가 취임하면 중동 내 역학 관계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앞으로의 변화를 해석하게 해주는 틀, 라이벌리즘을 읽는다.
Rating Graph
Avg3.9(14)

Author/Translator

Comment

3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 왜 중동을 알아야 할까 1 _ 사우디아라비아 vs 이란 ; 중동의 맹주가 되려는 두 국가의 경쟁 모든 게 대조적인 나라 왕정 산유국 사우디의 약점 이란의 시아 벨트 전략 이란은 왜 사우디를 의식할까 사우디는 이란을 견제할 수 있을까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이란의 과제 2 _ 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 ; 중동 분쟁의 고전 아랍권에서 이스라엘은 어떤 의미인가 이스라엘의 안보 제일주의와 우경화 아랍 형제들의 무관심, 나아가 배신 트럼프 시대에 미국은 왜 이스라엘 편이었을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공존할 수 있을까 3 _ 아랍에미리트 vs 카타르 ; 강소국 간 경쟁에서 대립으로 중동의 허브를 꿈꾸는 두 나라 라이벌을 넘어 적대 관계로 깊어지는 반감과 적개심 단교 사태는 걸프 협력 회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4 _ 미국 vs 러시아 ; 세계 최강대국이 중동에서 벌이는 경쟁 트럼프가 발 빼던 중동에서 바이든의 선택은 새로운 중동의 중재자, 러시아 러시아를 환영하는 미국 동맹국 5 _ 터키와 중국 ; 본격적인 라이벌전의 출발점 터키 ; 다시 꾸는 오스만 튀르크의 꿈 중국 ; 경제를 앞세운 중동 진출 에필로그 ; 중동을 이해하는 두 번째 키워드 주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 사건에서 이야기로

Description

중동 정세의 핵심은 라이벌 관계다. 종교, 정치, 외교, 경제적 갈등이 복잡하게 얽힌 중동을 이해하는 법. 중동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은 늘 국제 뉴스의 주요 지면에 등장한다. 미국, 러시아 등 주요 국가도 깊이 연관되어 있고, 국제 정세에 영향도 크다. 그러나 산발적인 사건들의 의미를 읽기는 어려웠다. 나와 관련이 있다고 느껴지지도 않았다. 중동 이슈에 관심을 갖거나, 흥미를 느끼지 못했던 이유다. 중동이 멀게 느껴지는 것은 맥락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이다. ‘시아파 맹주 이란, 수니파 맹주 사우디’ 같은 표현은 반복되지만, 이것이 지금 일어나는 사건을 설명해 주지는 않는다. 가령 2020년 9월 ‘이스라엘이 UAE, 바레인과 외교 관계를 정상화했다’는 뉴스가 왜 뜬금없이 이란, 사우디와 관련된 소식인지 알기는 어렵다. 이 사건은 11월 사우디의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와 이스라엘의 네타냐후 총리가 비밀리에 직접 만난 일과도 이어진다. 그러나 맥락을 모른다면 두 가지가 전혀 별개의 사건으로 보일 것이다. 두 사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우디와 이란의 라이벌 관계, 최근 이란의 영향력 확장 행보, UAE와 바레인의 사우디에 대한 의존도, 이란과 미국의 대립, 이스라엘과 중동 국가들의 불편한 관계까지 알아야 한다. 종교적·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이란과 사우디의 관계 속에서 최근 이란은 세를 확장하고 있고, 사우디는 이를 견제하려 한다. 이란이 이스라엘에 적대적이라는 점과 이슬람 국가들의 이스라엘에 대한 안 좋은 감정을 동시에 고려해 전략을 택했다. 미국은 이란과의 대립 구도 속에 이런 행보를 지원하고 있다. 맥락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은 중동을 오해하는 이유기도 하다. 국가 간 역학 관계에 대한 이해 없이 사건만 본다면 ‘늘 분쟁이 일어나는 곳’, ‘폭력적이고 비상식적인 사건들이 벌어지는 지역’으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일부는 맞는 말이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 맥락을 알 때, 사건은 흥미로운 이야기로 바뀐다. 저자는 라이벌 구도를 쉽고 상세히 설명하면서 중동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내러티브로 읽을 수 있게 해준다. 중동 이야기의 핵심은 이렇다. 국가들은 결국 안보를 위해 투쟁한다. 주변국과의 분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혹은 국가 내에서 반정부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서다. 옳든 그르든 국가나 집단의 행동은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위협하는 세력의 역학 관계가 바뀌었기 때문에 촉발된다. 중동의 사건들을 이해의 여지가 있는 ‘이야기’로 받아들이는 것은 중동을 넘어 국제 정세를 깊이 이해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고민하는 시작점이다.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