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크리틱』은 197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한국의 시각 문화를 세 가지 키워드?한글 타이포그래피, 출판, 행동주의?를 중심으로 탐구하는 비평서이다. 이 책은 그래픽 디자인 연대기, 사례 모음이자 디자인 실천을 통해 한국 사회와 문화의 내면을 비평적으로 파고드는 시각문화 비평서이다. 전가경은 16년 넘게 축적해온 리서치와 글쓰기, 강의, 전시 기획의 경험을 집대성해 산발적으로 전개되어온 디자인 실천들의 문화적 좌표를 다시 설정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로마자 중심 타이포그래피 이론이나 유럽·일본 중심의 디자인사가 다루지 못한 ‘한글’과 한국의 출판문화, 행동주의적 실천을 적극적으로 재서술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새로운 방법론적 개입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의 첫 번째 축인 ‘한글 타이포그래피’ 장에서는 문자 조형이 단순히 시각적 조합에 머무르지 않고, 시대적 요구와 이데올로기 영향 아래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다룬다. ‘네모틀’ 안에 갇힌 한글 조판의 제약, 세벌식 자판을 둘러싼 역사적 논의, 1970~80년대 ‘조형적’ 타이포그래피 실험부터 오늘날 디지털 폰트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한글이라는 문자 체계는 끊임없는 기술적, 정치적, 심미적 교섭의 장이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디자이너는 조형가일 뿐만 아니라 문자와 언어 사이의 긴장을 감지하고, 새로운 질서를 제안하는 언어의 중재자이자 편집자로 등장한다.
두 번째 축인 ‘출판’은 디자이너가 편집자이자 기획자, 문화 생산자로 활동했던 역사를 복기하며 『뿌리깊은나무』 『샘이깊은물』 『마당』 같은 잡지를 통해 당시 지식인들과 디자이너들이 함께 만들어낸 문화적 지형도를 추적한다. 출판 디자인은 책의 ‘표지’나 ‘지면 디자인’이 아닌, 콘텐츠 구성과 기획, 언어와 시각 사이의 정치적 배치를 아우르는 총체적 문화 디자인으로 읽힌다. 특히 1980~90년대의 진보적 출판사들?민중서관, 당대비평, 일과놀이, 창비 등?이 펼쳐낸 전시 도록과 소책자, 시리즈 기획 등은 ‘편집 디자인’의 미학적 실험이자 실천적 전략이었다.
세 번째 키워드인 ‘행동주의’는 디자이너가 사회적 의제를 시각 언어로 조직하고 퍼뜨리는 역할을 재조명한다. 2010년대 이후 본격화된 디자인 운동의 흐름?예컨대 FDSC(페미니스트 디자이너 소셜 클럽), 일상의실천 등?은 디자인을 통해 말하고 개입하고 변화시키는 과정을 실천해 왔다. 페미니즘과 퀴어 이슈, 기후 위기, 노동 문제, 도시 공간의 공공성 등, 다층적 사회 현안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대응과 연대는 오늘날 디자인의 역할과 정체성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고 있다. 이 책은 그런 흐름을 단순히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소비하는 대신, 운동의 계보학으로 접근한다.
『그래픽 크리틱』은 각 장을 시대순으로 단순 배열하는 연대기적 기술에서 벗어나, 시간의 단면을 서로 교차시키고 중첩시켜 다층적으로 구성했다. 이를 통해 독자는 단일 서사로 환원되지 않는 디자인사의 다중적 국면을 접하게 된다. 이 책은 학술서의 깊이를 갖추었으면서도, 현장에서 활동하는 디자이너들과 문화 기획자, 편집자, 출판인들이 실천의 언어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즉, 연구와 실천을 가로지르는 비평적 플랫폼으로서의 책이라는 실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