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Ⅰ. 원시와 고대
1. 대륙과 연결된 구석기 시대-채집·수렵·어로의 시대 14
2. 일본사의 기초, 조몬 시대-열도의 형성과 농경 없는 신석기 문화 18
3. 최초의 문명, 야요이 시대-한반도로부터 온 벼농사와 금속기 문화 23
4. 중국사서에 보이는 고대 일본 열도-소국의 형성과 야마타이 국 28
5. 일본 고대사를 푸는 열쇠, 한반도-수수께끼의 초중기 고분 시대 31
6. 일본사 최초의 통일국가, 야마토 정권-호족 연합정권과 대왕(천황)의 등장 36
7. 씨성 제도와 제정일치사회-야마토 정권의 사회 39
8. 고대국가를 위한 첫걸음, 쇼토쿠 태자-아스카 시대 43
9. 일본 최고의 수준, 아스카 문화-백제인이 만든 문화 48
10. 다이카 개신과 백제 구원군 파견-중앙집권 국가의 시도와 정체 53
11. 고대국가의 급속한 성립 -덴무 · 지토 · 몬무 천황 시기 58
12. 일본이 탄생하다-중앙집권의 일본적 변용 62
13. 국가토지 소유제의 붕괴와 정쟁의 격화-중앙집권 국가의 급속한 동요, 나라 시대 66
14. 덴표문화, 대륙문화의 왕성한 섭취-나라 시대의 문화 71
15. 장원의 발달과 중앙집권의 와해-천년의 수도로 도읍, 헤이안 시대 75
16, 귀족 후지와라 씨의 정치-일본문화의 전성 79
17. 일본적 감수성의 원천, 가나로 쓴 최초의 시집-고금와카집 83
18. 궁녀가 쓴 감미로운 우울의 세계-일본최고의 걸작, 겐지모노가타리 87
19. 일본불교의 성립, 신도의 신들과의 결합-나라· 헤이안 시대 91
20. 주술화된 일본 고대 불교-천태종과 진언종 95
21. 상황의 정치와 무사-원정의 시작 99
22. 일본고대, 열도가 주는 자유로움-고대사 104
Ⅱ. 중세 사무라이 사회
23. 무사 헤이시 정권의 성립과 멸망-중세의 시작 110
24. 최초의 무사정권, 가마쿠라 막부-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정이대장군이 되다 114
25. 호조 씨의 대두, 그리고 무사와 농민-처가로 옮아간 막부의 실권 117
26. 막부의 전국통치와 천황-조큐의 난 120
27. 전투자로서 사무라이의 세계-충성과 무용 124
28. 죽음의 미학, 할복과 벚꽃-사무라이 사회 128
29. 전환의 시대, 민중불교의 탄생-가마쿠라 시대의 신불교 132
30. 몽골의 일본 침공-일본을 구해낸 가미카제 137
31. 무사들의 궁핍, 고다이고 천황의 반란-가마쿠라 막부의 멸망 140
32 불안정한 무로마치 막부-남북조시대, 요시미쓰 장군의 등장 144
33 시대의 강자 슈고 다이묘, 그리고 막부조직-무로마치 시대 148
34. 농민봉기, 잇키의 시대-서민의 대두 151
35 하극상의 전국시대 서막-오닌의 난 155
36 새로운 강자 전국 다이묘-약육강식의 전국시대 159
37. 대표적 전국 다이묘-호조 소운과 다케다 신겐 163
38 왜구와 동아시아-명과 조선과의 관계 166
39 일본적 미의식의 형성-사비, 와비, 유현 170
40. 정원, 다도, 노, 꽃꽂이-무로마치 문화 173
Ⅲ. 근세사회로의 이동
41. 기독교와 조총의 전래-유럽의 일본 진출 178
42. 오다 노부나가의 등장-전국통일의 가닥 182
43.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전국통일-아즈치·모모야마시대 186
44. 에도 막부의 성립-도쿠가와 이에야스 191
45. 쇼군과 다이묘-막번체제 195
46. 신분제도와 농민지배-에도막부의 사회 199
47. 쇄국과 시마바라의 기독교도 반란-기독교 금압과 쇄국 203
48. 막부정치의 문치화-쓰나요시·이에노부 장군시대 207
49. 평화시대의 무사도, 47인 사무라이의 충신들-아코성 주군의 복수사건 211
50. 죠카마치의 번영과 도시민의 생활-도시와 상업의 발달 214
51. 인간의 본능을 대담하게 긍정한 조닌 문화-에도시대 상인문화 218
52. 세계적인 문화유산, 우키요에-고흐가 동경한 대량생산된 판화 223
53. 형식미의 세계, 분라쿠와 가부키-일본전통예능의 정수 228
54. 보편자의 결여, 일본유학의 세계-일본 주자학에서 고학에 이르기까지 234
55. 위기와 다양한 개혁들-교호개혁과 다누마의 정치 238
56. 농민소요의 격증과 오시오의 난-에도막부의 동요 242
57. 막부재건의 마지막 몸부림-덴포개혁의 좌절과 웅번의 대두 245
58. 국수주의의 원초적 형태, 국학-모토오리 노리나가 248
Ⅳ. 근대사회의 성립
59. 개국과 새로운 세력의 등장-일본근대의 시작 254
60. 정치적 긴장의 해, 1858년-통상조약체결과 쇼군계승문제 259
61. 스러진 시대정신의 소유자, 요시다 쇼인-에도시대의 지사 263
62. 하급 사무라이의 존왕양이 운동-암살·테러의 급진적운동 267
63. 막부 멸망과 메이지 유신을 만든 사람들-메이지유신 272
64. 문명개화-근대 초기의 문화 277
65. 근대개혁과 희생된 사람들-메이지 중앙집권화정책 281
66. ‘헌법제정·국회개설’의 요구-자유민권운동 287
67. 제국헌법과 초기의회-입헌체제의 수립과 의회 292
68. 일본제국주의와 전쟁-청일전쟁 · 러일전쟁 296
69. 제국의 승리와 식민지 한국-아시아에 대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