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1장 공포영화를 생각하며 1.여관방 몰카에 잡힌 혼령의 정체 2.왜 여귀인가 3.기생 월향지묘와 저주의 비디오 4.'장르'로서의 공포영화 제2장 장르의 쾌락과 한국의 여귀 1.공포의 자질 (1)숭고와 공포,그리고 괴물 (2)공포와 쾌락 (3)한국 공포영화의 괴물,여귀 2.근대와 공포영화 (1)'괴물'로서의 여성 (2)억압된 기억과 '트라우마' 제3장 한국'고전'공포영화의 형성 1.공포영화의 생산과 전개 (1)공포영화 생산의 원천 (2)형성기와 정착기의 경향들 (3)변이와 변형 2.훈육의 서사에서 공포의 서사로 -전근대의 귀신담과 공포영화 (1)유학 및 무속 신앙의 귀신관과 귀신 이야기 (2)공안 이야기에서 공포영화로 변이-<장화홍련전> (3)'아랑형 전설'에서 공포영화로의 변이 (4)한풀이에서 원 갚기로 3.멜로드라마적 상상력과 공포의 문제 (1)멜로드라마적 상상력과 원한 (2)가정소설의 모티프와 공포영화 4.역사의 인격화와 공중 공포영화 (1)'인과응보'로서의 초현실적 역사관-《금삼의 피》 (2)'절대악'의 등장-<연산군>연작 (3)'규모'의 스펙터클과 사물화된 공포-<이조괴담> 5.'한'의 대중화와 신파 공포영화-<월하의 공동묘지> (1)정한과 원한 (2)'신파'와 공포영화 제4장 한국'현대'공포영화 1.IMF 트라우마와 현대 공포영화 (1)공포영화의 부활 (2)왜 '다시'여귀인가 (3)IMF 관리 체제 시대의 분한과 여성 (4)문제는 살아 있는 여성이다 2.영매가 되는 여성들과 기억의 정치학 (1)애도를 통한 기억에서 반복을 통한 기억으로 (2)그녀의 죄는 무엇인가- (3)빙의와 기억의 정치학- (4)욕망의 무대화- 제5장 아시아 장르로서의 공포영화 1.아시아 공포영화 2.아시아 대중문화에서의 여성 3.접속하는 사이보그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인명 찾아보기|작품명·서명 찾아보기|개념·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