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또 다른 전쟁
1. 한국전쟁을 보는 시각 전쟁 발발을 기념하는 국가 | 압제하는 앎과 예속된 앎 |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2. 왜 다시 한국전쟁인가?
3. 전쟁·국가·정치 정치의 연장과 과정으로서의 전쟁 | 국가 건설과 계급정치로서의 전쟁
4. 피란·점령·학살
2부 피란
1. 피란, 전쟁의 미시정치
2. 전쟁 발발 당시의 표정 한국군과 이승만: 허를 찔린 군대, 침착한 이승만 | 민중들
3. 위기 속의 국가와 국민 이승만과 국가 | 기로에 선 국민: 피란과 잔류
4. 정치적 책임과 한계 정치와 윤리: 무책임한 이승만 | 무책임의 배경: 주권의 부재
5. 맺음말
3부 점령
1. 뒤집어진 세상
2. 혁명으로서의 전쟁 인민정권 | 점령정책
3. 신이 된 국가 적과 우리 | 전시동원
4. 정복인가, 해방인가
5. 맺음말
4부 학살
1. 조직적 은폐, 강요된 망각
2. 학살의 실상 학살의 개념 | 학살의 유형 및 전개
3. 학살의 특징 학살의 장면들: 인간 사냥 | 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전쟁 시의 학살
4. 학살의 정치사회학 구조적인 배경: 국가 건설·혁명·내전의 삼중주 | 주체적 배경
5. 맺음말
5부 국가주의를 넘어서
1. 상처받은 반쪽 국가의 탄생
2. 민족구성원 대다수가 피해자인 전쟁
3. 정치의 연장으로서의 전쟁
4. 전쟁의 연장, 분단의 정치
5. 21세기에 바라보는 한국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