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김경일
399p
Where to buy
content
Rate
4.3
Average Rating
(2)
Comment
More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2안

식민지라는 특수한 상황하의 조선 사회에서 서구와 동양이 충돌, 융합하면서 독자적인 근대를 형성해나가는 과정을 신여성을 매개로 생생하게 보여준다. 지은이는 첫째, 남성 중심성과 전통이라는 이데올로기에 도전하였던 신여성의 모습에서 보편적 근대성의 출현을 단적으로 볼 수 있다는 점. 둘째, 신여성의 출현에 대한 동아시아 각국의 사회적 반향을 비교함으로써 서구 및 일본의 근대와 차별적인 우리의 특수한 근대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근대성 분석의 도구로 신여성을 택했다고 말한다. 이 책은 이같은 두 가지 관점에 기초하여, 신여성의 출현과 이를 둘러싼 담론 및 사회현상의 변화를 정리,분석한다. 여성 해방 욕구가 분출되던 1880~1910년대, 신여성이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한 1920~1930년대, 전시체제에서 서구적인 것을 부정적으로 매도하는 사회 분위기의 영향으로 사회적으로 지탄을 받게된 1930~1940년대의 사회를 시대별로 정리하면서, 그속에서 식민지 신여성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살핀다.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을 둘러싼 신여성의 자기정체성 문제를 비롯해 성과 사랑, 신체와 단발, 스포츠, 소비와 유행, 지식과 교육, 일과 직업 등 여러 영역에 걸쳐 신여성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서구 및 일본의 신여성과 조선 신여성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어 한국 근대의 보편성 및 특수성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신여성」,「여성」,「별건곤」등 당시 신여성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책들에서 발췌한 130여컷의 사진을 더불어 실었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왓챠 개별 구매

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책을 읽기 전에 1. 근대의 옷을 입은 신여성의 출현 1. 근대와 여성의 만남 2. 일본의 '모던 걸'과 조선의 '신여성' 3. 여성에 관한 관찰은 편견과 혹평으로 충만한 바 2. 변화와 갈등의 물결을 타다 1. '신여성' 담론의 계보학 2. 여성 해방 욕구의 분출 _ 1880-1910년대 3. 동경의 대상으로 자리한 신여성 _ 1920-1930년대 중반 4. 원피스를 벗어던지고 '전사'로 _ 1930년대 후반 - 1945년대 3. 자기정체성에 눈뜨다 1. 동화 혹은 저항, 식민지 신여성의 선택 2. 타자로서의 근대, 서구와 일본 3. 민족주의와 페미니즘 앞에서 분열된 자아 4. 미완성의 과제, 여성의 근대 4. 성과 사랑의 자유를 부르짖다 1. '연애'의 탄생 2. 다양한 성 담론 3. 향락과 퇴폐로 얼룩진 성 4. 세 가지 사랑의 유형 5. '근대'의 표상으로서의 성과 사랑 5. 단발에 스카프를 두르고 종로거리를 활보하다 1. 근대성의 분열과 여성의 몸 2. 몸과 성 정체성의 변화 3. 단발 시대의 도래 4. 스포츠를 즐기는 여성들 5. 신여성의 몸과 근대성 6. 소비와 유행의 선두에 서다 1. 근대의 도시 문화 2. 모던 걸의 소비 문화 3. 도시의 욕망이 흐르는 카페 4. 사치와 허영이라는 낙인 5. 전통의 역할과 식민지 현실 7. 학교에 가다 1. 여성 교육의 근대화와 한계 2. 여성 교육의 실태와 현상 3. 일본에 동화시키기 4. 우민화 정책의 희생자 5. 식민 제국을 위해 노동하는 여성들 8. 학교제도를 비판하다 1. 여성을 타자화하는 식민 교육 2. 우리에게 맞는 교육을! 3. 교육 기회의 불평등 _ 1920년대 4. 방향과 목표를 상실한 식민 교육 _ 1930년대 이후 9. 직업전선에 뛰어들다 1. 신여성과 직업 2. 경제 활동과 직업 구조의 변화 3. 제한적이고 불평등한 직업의 기회 4. 능력보다 외모 5. 여성들이 일하는 이유 수록된 글의 출전 참고문헌 찾아보기

Collection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