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일러두기 6 역자서문 7 [1] 절대주의 유토피아 ‘검은 사각형’에 관한 거의 모든 것 13 “자동차와 부인. 4차원의 다채로운 입체물”: 기호의 탄생 45 “완전함의 단일한 형상”: 말레비치 철학의 절대주의 오더 55 “‘우리’가 탄생한 우리 시대에”: 알려지지 않은 말레비치의 글 한 편에 관하여 76 [2] 절대주의와 구축주의  상호관계의 역사: 교차하는 평행선 89  1922년 여름의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세이 간, 그리고 우노비스: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 105   [3] 우노비스: 단체, 이념, 연감 “우리는 불이 되어 새로움의 힘을 부여할 것이다”: 공동체의 유토피아 121  우노비스당 135  연감 우노비스: “공간과 시간 속에서 움직이는 몸처럼 책을 구성하라” 140 “우리 셋은 새 기반이다” 말레비치, 차시니크, 수예틴: 스승과 제자 144  니콜라이 수예틴: “나는 화가가 인간적인 힘을 가지길 원한다” 164  일리야 차시니크: “인간 존재의 핵심은 비대상적 근원이다”  라자르 헤데켈: 절대주의 장의 평면 연구 203  니나 코간: 여성 화가의 운명 224 “바쿠니나라는 별명을 가진, 지칠 줄 모르는 니나 오시포브나 코간”: 코간, 미투리치, 말레비치, 흘레브니코프 244 인명 해설 259 도판 모음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