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I. 영화정책
1. 문화정책
1) 중국에서의 ‘문화산업’ 개념
2)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단계
3) 중국의 문화산업 발전의 추진동력과 정체성(identity)은 무엇인가?
4) 중국은 왜 ‘정부주도형 시장화 발전모델’을 추진하는가?
5) 중국식 문화산업 발전의 성과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6) 향후 중국 문화 산업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2. 영화정책
1) 영화정책의 전통
2) 개혁개방 이후 ‘정부주도형 시장화’ 정책의 정착
II. 영화산업
1. 영화시장 규모의 확대와 산업구조 변화
2. 영화 제작편수의 증가와 지역편중 현상
3. 투자/제작사
4. 배급/상영
III. 작품 동향과 특징
1. 중국식 블록버스터 상업영화의 영화시장 주도와 국가이데올로기의 심화
1) 2001년 WTO 가입 이후 대작 상업영화의 눈부신 발전
2) 중국식 블록버스터 상업영화의 특징 분석
3) 중국식 블록버스터 상업영화에는 어떤 특징이 들어 있는가?
4) 중국식 블록버스터 상업영화의 문화정치학
2. 주선율영화의 영화시장 생존을 위한 새로운 변환(transformation)
1) 주선율영화의 개념과 연혁
2) 주선율영화의 변환과 그 배경
3) 주선율영화의 이데올로기 분석 방법론
4) 주선율영화 분석
5) 주선율영화의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며 무엇을 표현하는가?
6) 향후 전망
3. 새로운 관객 욕구와 장르영화의 진화
1) 최근 장르영화의 발전 현황과 특징
2) 중국을 대표하는 장르영화, ‘무협영화’란 무엇인가?
3) 무협영화의 변천과 발전단계
4) 장르변천과 무협영화 장르의 재정의
5) 무협영화 사례분석
6) ‘용문’시리즈의 장르 변용의 특징과 그 요인
7) 왜 무협영화 장르가 변동되고 있는가?
4. 거세게 부는 세대교체 바람
1) 청년영화의 새로운 도전
2) ‘시장형 청년영화’ 읽기
3) ‘시장형 청년영화’는 어떤 특징과 사회적 의미를 가지는가?
4) 청년영화의 즐거운 반란
Ⅳ. 중국영화의 전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