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어 수업

한성우 and other
320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8(6)
Rate
3.8
Average Rating
(6)
삶의 기본인 의식주 용어부터 호칭, 옛말, 욕설, 은어까지 북한 말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담은 책이다. 북한에 ‘찌개’라는 말이 없는 건 그런 음식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연인과 통화할 때 ‘오빠 지금 뭐하는데?’라며 남한식 호칭과 억양을 사용하는 북한 젊은이들 모습에서는 남한 대중문화의 영향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왜 ‘다시다’는 북한에서도 ‘다시다’인지, 북한 말에는 왜 높임법이 없는지 등, 일상의 북한 말을 살피는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북한의 사람과 풍경이 그려진다. 북한의 말을 다룬 책은 이미 충분하다. 그러나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 말은 여전히 ‘낯설거나 이상하거나 웃기거나 과격한’ 것이다. 이제까지 북한 말에 대한 언급이 다른 것, 흥미를 끌만 한 것에 주목한 결과다. 한성우는 말한다. “남북의 말은 다르기보다는 같다. 남한 사람들에게 일상의 북한 말을 생생하게 보여주면 알게 될 것이다.” 그가 ‘가상의 평양살이’를 시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이 책을 통해 남북의 말에서 드러나는 ‘약간의 차이와 간격’을 어떻게 잘 좁혀나갈 수 있을지, 북한의 말, 더 나아가 그 말을 쓰는 북한 사람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8(6)

<울트라 코리아> 10주년 기념 이벤트

파라다이스시티 인천에서 만나보는 전세계 최정상 라인업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2

Table of Contents

머리말 프롤로그 제1강 식사 시간: 말이 어우러지면 국물 맛이 진해진다 제2강 부엌 풍경: 말은 설거지 거리가 아니다 제3강 교통수단: 길을 따라 오르내리는 말들 제4강 입을 것: 흰옷에 청바지 물이 들 듯, 말이 스며들면 제5강 먹을 것: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이 먹고도 ‘기틸’ 것이 있도록 제6강 학습 용어: ‘미누스’가 아닌 ‘뿌라스’의 방법으로 제7강 기술 용어: 하드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로 해결하라 제8강 방언: 지새지 말아다오 이 땅의 말아 제9강 방송: ‘통로’를 열거나 ‘통로’를 바꾸거나 제10강 세탁과 미용: 말도 가끔은 ‘화학빨래’를 해야 한다 제11강 호칭: 북이 삼킨 ‘동무’, 남이 바꾼 ‘오빠’ 제12강 두음법칙: 이씨와 리씨가 만나면 요리를 먹을까, 료리를 먹을까? 제13강 사전과 사이시옷: 사전은 세대를 나누고 사이시옷은 남북을 가른다 제14강 욕설과 구호: 그러나 일상의 말은 잔잔하고 맑다 제15강 은어: 삶 속 깊이 들어가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제16강 지도자의 말: 그 속에서 우리말의 미래를 점쳐본다 제17강 스포츠 용어: 어느 한쪽만 응원해서는 안 될 문제 제18강 옛말: 남북 사극 속의 인물들은 같은 말을 쓴다 제19강 말: 말은 얼룩이 아니다 제20강 여행과 국경: 부산발 런던행 기차를 꿈꾸며 에필로그

Description

“그 방언학자는 왜 평양으로 갔을까?” 한 지역의 말을 제대로 연구하려면 그 지역에 머물러야 한다. 하지만 북한은 갈 수 없는 땅. 그 때문에 방언학자 한성우는 간접 체류 방식을 택했다. 바로 공동저자 설송아를 비롯한 북한 출신 사람들의 도움을 받고, 각종 연구자료와 드라마, 영화, 소설 등을 참조하는 것. ‘가상의 방언조사, 가상의 평양 체류기’를 표방하는 이 책은 그렇게 탄생했다. ‘표준어’가 남한의 말을 대표하듯 ‘문화어’는 북한의 말을 대변하며, 저자가 북한 말을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고 깨달은 것들을 전해주기에《문화어 수업》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이 책은 삶의 기본인 의식주 용어부터 호칭, 옛말, 욕설, 은어까지 북한 말에 대한 거의 모든 것을 담았다. 북한에 ‘찌개’라는 말이 없는 건 그런 음식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연인과 통화할 때 ‘오빠 지금 뭐하는데?’라며 남한식 호칭과 억양을 사용하는 북한 젊은이들 모습에서는 남한 대중문화의 영향을 알 수 있다. 그 외에도 왜 ‘다시다’는 북한에서도 ‘다시다’인지, 북한 말에는 왜 높임법이 없는지 등, 일상의 북한 말을 살피는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북한의 사람과 풍경이 그려진다. 북한의 말을 다룬 책은 이미 충분하다. 그러나 남한 사람들에게 북한 말은 여전히 ‘낯설거나 이상하거나 웃기거나 과격한’ 것이다. 이제까지 북한 말에 대한 언급이 다른 것, 흥미를 끌만 한 것에 주목한 결과다. 한성우는 말한다. “남북의 말은 다르기보다는 같다. 남한 사람들에게 일상의 북한 말을 생생하게 보여주면 알게 될 것이다.” 그가 ‘가상의 평양살이’를 시도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다. 이 책을 통해 남북의 말에서 드러나는 ‘약간의 차이와 간격’을 어떻게 잘 좁혀나갈 수 있을지, 북한의 말, 더 나아가 그 말을 쓰는 북한 사람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평안도 방언 연구자 한성우와 북한 출신 기자 설송아, 남과 북이 함께 쓴 생생한 북한 말 탐구생활 방언에 담긴 삶의 다채로운 풍경을 보여주는 《방언정담》, 우리 음식과 관련된 말의 다양한 모습을 밝힌 《우리 음식의 언어》, 노랫말에 담긴 우리 삶을 돌아보는 《노래의 언어》로 ‘말’에 얽힌 교양을 전하며 독자와 언론의 많은 주목을 받았던 한성우 인하대 한국어문학과 교수가 이번에는 ‘북한 말’로 돌아왔다. 한성우 교수는 북한 평안도 방언연구자로, 오랜 시간 동안 북한의 말을 조사하고 연구해오며 언젠가는 북한 땅의 말을 이야기로 풀어내 보고 싶었다. “가보지 못한 땅의 들어보지 못한 말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은 방언연구자에게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남북 간의 화해와 협력을 앞당길 계기가 될 2018년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을 지켜보며, 비록 북한 땅에 직접 들어가지는 못하더라도 이른 시일 내에 북한 말과 관련된 책을 내야겠다는 결심을 굳혔다. 책을 쓰기 위해서는 북한 말, 북한의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이 필요했다. 2008년 평양을 떠나 중국을 거쳐 남한에 들어온 〈RFA 자유아시아방송〉의 설송아 기자는, 40년 넘게 북한에서 살았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성우 교수에게 북한 말과 북한에서의 삶을 이야기해주고 직접 글도 쓰며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그밖에도 함경북도 회령 출신의 최희 박사를 비롯해 북한의 사정을 잘 아는 사람들과 비교적 최근에 북에서 남으로 온 사람들로부터 북한의 말과 이야기를 수집했고, 그 결과 현지 방언조사를 직접 다녀온 것에 버금가는 생생한 북한 말 책이 나올 수 있었다. 짠짠지? 11호차? 의식주 관련 용어부터 호칭, 욕설, 은어까지 일상 속 북한 말의 용법과 변화에 담긴 내밀한 북한 풍경 《문화어 수업》은 남한의 화자를 대표하는 한겸재 가족과 북한의 화자를 대표하는 리청지 가족을 등장시킨다. 대부분의 상황에서 두 가족이 큰 장벽 없이 서로의 말을 이해한다. 두 가족의 대화를 통해 남북의 말은 크게 다르지 않으며, 둘 사이에 ‘약간의 차이와 간격’만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그 간격을 조금 더 좁힐 수 있도록, 남한의 말과 다른 북한 말의 용법과 변화를 자세히 들여다본다. 왜 북한에는 ‘찌개’라는 말이 없을까? 그건 북한에 국은 있어도 찌개라는 음식 자체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의 식탁에 빠지지 않는 ‘김치’도 원래 북한 말에는 없었다. 북한에서는 남한의 ‘김치’를 ‘짠지’라고 하고 남한에서 ‘짠지’라고 하는 것을 ‘짠짠지’라고 한다(제1강 식사 시간). 그런데 요즘 들어 ‘김치’라는 말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고, 조미료를 ‘다시다’라고 부르기도 한다(제2강 부엌 풍경). 북한이 아무리 남한에 대해 문을 닫아걸어도 남한의 상품과 문화가 북한으로 흘러 들어가고 이름도 따라 들어간 까닭이다. 그밖에도 북한 젊은이들이 어째서 공식적으로 사용 금지된 남한의 표준어를 쓰고 있는지(제15강 은어), 북한 말에 높임법이 없는 이유가 무엇인지(제11강 호칭), 북한에서 주로 쓰는 욕설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제14강 욕설과 구호), ‘11호차’는 어떤 교통수단을 가리키는 건지(제15강 은어), 북한 TV 사극 속 인물들이 남한 TV 사극의 등장인물들과 같은 말을 쓰는 이유는 무엇인지(제18강 옛말) 등, 북한 말을 통해 북한에서 살아보지 않고는 쉽게 알기 힘든 내밀한 북한의 풍경을 흥미롭게 보여준다. 북한 말은 낯설거나 이상하거나 웃기거나 과격하다? 서로 다름을 포용하고 거리를 좁히는 법 북한에서 스타킹은 ‘유리양말’이고 프리킥은 ‘벌차기’다. 이처럼 북한 말엔 외국어를 그대로 쓰지 않고 어떻게든 바꿔 표현하려고 한 것이 많다. 남한 사람들은 이런 말들에 호기심과 흥미를 보이는 것을 넘어 희화화하거나 비웃기도 한다. 이 책은 이런 경향에 대해, “가능하면 알기 쉬운 말로 바꾸려고 한 결과”이며 “다른 것이지 틀린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아무리 북한이 외국어나 외래어를 쓰지 않으려 애써왔다고 해도, 아예 쓰지 않을 수는 없는 일. 북한 말에도 일본어나 러시아어의 영향이 배어 있다. 가령 남한에서 말하는 터틀넥을 북한에서는 일본말 ‘도꾸리 세타’의 영향으로 ‘도꾸리’라고 부른다. 또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북한에서는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플류스’와 ‘미누스’라고 한다. 책에서 한겸재의 중학생 딸 한슬기가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플류스와 미누스라 발음하는 리청지의 딸 리예리에게 “왜 그리 발음이 구려?”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온다. 한겸재는 그 대목에서 이렇게 말한다. “영어식 발음으로는 ‘플러스’와 ‘마이너스’이지만 이 단어의 뿌리가 라틴어에 있음을 감안한다면 ‘플류스’와 ‘미누스’가 원조 발음이다. 그러니 그 발음을 ‘구리다’라고 표현하는 것은 오로지 영어 발음에만 기댄 편견일 수 있다. 결국 기준이 문제인데 그 기준을 나, 혹은 내게 친숙한 것으로 삼으면 이 기준에 어긋나는 것은 다 ‘구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환갑이 지나 칠순이 다 되어가는 분단의 세월을 생각해보면 다른 것은 당연하고, 한 가지 기준을 들이대며 그것이 틀렸다 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105쪽) 《문화어 수업》은 총 20번의 강의마다 북한 말과 북한의 삶을 이해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어떻게 ‘다른 말’을 대해야 할지에 대한 가르침과 깨달음을 안겨준다. 수업을 모두 수강하고 나면 어느새 우리는 북한 말, 나아가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을 편견과 선입견 없이 대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을지 모른다.

Collections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