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서문 지방이 돌아왔다 1장 지역 간 차이가 사라진다 01 로컬을 지향하는 젊은 세대들 빈 점포를 활용한 창업 | 느슨한 생태계 네트워크 | 사람이 모여들면 일이 생긴다 02 꼭 도시에서 일할 필요는 없다 소비 성향의 두 얼굴 | 젊은 세대가 일하는 방식 | 지방의 크리에이티브 클래스 꼭 도쿄에 살지 않아도 괜찮은 이유 | 사람이 사람을 부른다 | 경제활동을 낳는 연대 2장 자영업이 달라지고 있다 01 낡고도 새로운 자영업 라이프스타일이 직업을 바꾼다 | 창업은 줄지 않았다 얼굴이 보이는 소비가 뜬다 | 자기 고용에서 자기 경영으로 02 자영업자들이 모여드는 곳 새로운 자영업의 등장 | 사회인 대학원에 모이는 사람들 ‘현대적 농민’으로 살아가는 법 | 도시의 본질 03 경제성과 호혜성의 사이에서 이탈리아 토리노의 소상공 지원 | 세월이 흘러도 커뮤니티는 변하지 않는다 3장 도시가 진화한다 01 사귐의 마을 경제학 분업으로 존재하는 경제 | 도움을 주고받는 거래 유연한 전문화 | 얼굴이 보이는 범위 02 새로운 협업 기업의 지방 이전 | 산업 공동화 대기업 유치만으로는 어렵다 | 폐쇄적인 공장을 관광 자원으로 | 분업이자 협업 4장 마을의 브랜드를 만들다 01 디자인이 곧 자본이다 고급화로 부활한 이마바리 타월 | 식기의 원류 ‘하사미야키’ 대량 생산에서 소량 생산으로 | 사쿠라 도자기 축제 | 만들면 팔리는 시대는 끝났다 02 마을과 공방을 관광 자원으로 지역 산업의 세 가지 유형 | 인재를 육성하는 고베의 가죽 산업 생활인이 아닌 여행자의 눈높이로 03 외부인의 눈으로 독일 마이센의 생산지의 품격 | 풍경의 발견 5장 소멸 가능성 도시에서 인기 도시로 01 작은 마을의 지역 산업 정책 사라진다던 지방의 부활 | ‘식(食)’을 팔고 사람을 키우다 | 스토리를 담은 지역 경영 02 지방이 가치를 창조한다 지역에 뿌리내린 산업의 가치 | 규모의 경제에서 가치의 경제로 03 공감을 가치화하는 사회적 투자 사회적 투자, 크라우드 펀딩의 가능성 | 공감의 가치화 결론 잃어버린 20년과 개인주의 시대 시대의 조정기 | 경제 시스템과 사회 인식 | 비관주의와 낙관주의를 넘어 ‘유연한 개인주의’의 재탄생 | 어느 정도의 부드러움과 유기적인 일관성 진정한 풍요로움을 찾는 작은 변화 작가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