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기도해주지 않는 아이,
자기 가족에게 납치된 아이,
그게 바로 나였다.”
★★★★★ 스티븐 킹 추천 최고의 책
★★★★★ 2015 골드대거상 수상작가의 최신작
★★★★★ 50여 개국 번역 출간, 800만 부 판매 돌파
“마지막 100페이지에 도달하면 결코 손에서 내려놓을 수 없다” _스티븐 킹
영미문학의 거장 스티븐 킹이 추천한 최고의 책
전 세계 50여 개국, 800만 부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한 영미 스릴러계의 거장 마이클 로보텀이 다시 돌아왔다. 그를 가장 사랑받는 스릴러 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조 올로클린’ 시리즈의 여덟 번째 작품 《나를 쳐다보지 마(Close Your Eyes)》를 통해서다. 명석한 두뇌와 따뜻한 심장을 가졌지만 서서히 몸이 무너져가는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심리학자 ‘조 올로클린’은 일상에 내재된 범죄의 씨앗을 소재로 인간 본성의 가장 깊고 어두운 면을 탐구해나가는 것으로 독자들의 무한한 애정과 신임을 얻고 있는 캐릭터다. 우리 삶에 만연하지만 쉽게 간과하는 사건들을 은밀히 포착하여, 그 이면에 숨어 있는 어둡고 내밀한 범죄 심리를 가감 없이 드러내기에, ‘조 올로클린’ 시리즈는 기존의 스릴러 작품들과는 비견될 수 없는 독보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신작이 발표될 때마다 문단과 독자의 열렬한 호평이 이어지고 있는 ‘조 올로클린’ 시리즈는 전 세계의 문학상 수상으로 그 진가를 인정받기도 했다. 《산산이 부서진 남자》는 네드 켈리 상을 수상하였고, CWA 스틸대거상 ? 영국 ITV 스릴러 문학상 ? 남아프리카공화국 뵈커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미안하다고 말해》는 2013년 CWA 골드대거상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그 여세를 몰아 지난 2016년 《라이프 오어 데스》라는 작품으로 스티븐 킹과 J. K. 롤링 등 쟁쟁한 작가들을 제치고 CWA 골드대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동작품은 에드거상 ? 배리상 최종 후보에도 노미네이트되었다. 또한 얼마 전 국내에서 선보인 《널 지켜보고 있어》는 ABIA 제너럴 픽션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이번 신작 《나를 쳐다보지 마》는 ‘조 올로클린’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좋은 평가를 받았던 요소들이 집대성되어 최상의 조화를 이룬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뇌리를 강타하는 강렬한 사건과 인간의 심리를 예리하게 파헤치는 조의 활약, 그리고 가슴 아프고 애달픈 가족에 대한 사랑 등은 왜 마이클 로보텀이 거장의 자리에 올랐으며, 그의 작품이 전 세계 수많은 독자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안겨줄 것이다.
“두 눈을 감고 심장이 뛰는 걸 느껴봐.
너에게 가고 있어, 곧 나를 보게 될 거야…….”
별거 중이던 아내 줄리안이 시골집에서 두 딸과 함께 여름을 보내자는 제안을 해온 기분 좋은 날, 달갑지 않은 프로파일링 요청이 들어온다. 조 올로클린은 6년 만에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는 기회가 생긴 이 시점에 사건을 맡는다는 것이 영 내키지 않으나, ‘마인드헌터’라는 심리학자가 조의 이름을 팔아 언론에 살인사건의 세부 내용을 공개하고 경찰 조사를 어렵게 만드는 바람에 어쩔 수 없이 수사에 가담하게 된다.
한 집 안에서 모녀가 살해당했다. 어머니는 서른여섯 차례 난도질당했고, 그 딸은 잠자는 숲 속의 공주처럼 침대에 고이 누워 죽은 채로 발견되었다. 광기와 연민이 공존하는 이번 사건의 두 살인은 큰 온도 차를 보이고, 살인자에게 딸과 어머니가 표상하는 바가 분명 달랐다는 것을 조는 단번에 간파해낸다. 살해당한 모녀의 주변 인물들을 살펴보기 시작하면서 수면 아래 감춰져 있던 비밀들도 서서히 드러나고, 수사선상에 오른 용의자 모두가 의심스러운 상황에 놓이게 되는데……. 모녀의 살인사건 외에도 피해자들이 줄줄이 발견되는 가운데, 범인의 살인 동기와 그의 표적이 되는 피해자들의 연결고리는 과연 무엇일까?
섬세한 정서와 일류의 서스펜스를 겸비한 글쓰기
거장 마이클 로보텀의 진가를 만끽할 수 있는 걸작 스릴러!
마이클 로보텀은 범죄자의 심리를 섬뜩할 정도로 정확하게 묘사하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작가가 되기 전에 오랫동안 기자 생활을 하며 악명 높은 탈옥수를 만나 가까이에서 지켜봤으며, 연쇄살인마나 아동 유괴범, 강도 등을 인터뷰하며 범죄 심리에 가까이 다가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특히 이번 신작 《나를 쳐다보지 마》는 용의자들의 심리적 표지를 읽어내며 퍼즐을 맞춰나가는 동시에 아버지로서의 역할과 관계, 슬픔에 대해서도 함께 풀어내기에, 시리즈의 여느 작품들보다 강렬한 감정의 요동을 경험할 수 있는 작품이다. 어린 시절의 새하얀 도화지에 어떤 일들―말 한 마디, 눈빛, 수군거림도 포함한다―이 그려지냐에 따라 삶의 방향도 확연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상처와 트라우마는 어떤 모습으로든 사람의 마음속에 자리 잡아 삶의 순간순간에 영향을 미치고 마음을 갉아먹으며 그 사람을 표상하는 것으로 변모해버리기도 한다. 마이클 로보텀은 이번 작품을 통해 이러한 상처의 씨앗이 어떻게 범죄의 동력으로 변해가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며 읽는 이를 두려움에 떨게 하는 동시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나를 쳐다보지 마》의 핵심 스토리라인이라 할 수 있는 ‘가족애’를 통해,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는 기반인 애정과 신뢰가 무너지거나 뒤틀려버렸을 때 인간이 겪을 수 있는 모든 감정을 날카롭고 충격적으로 그려내는 이번 작품은 마이클 로보텀의 작품들 중에서도 수작으로 손꼽기에 손색없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