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Table of Contents
prologue 1. 산수미의 강렬함 산수를 사랑한다|산수 사랑과 아름다운 인간|산수화는 아름다운 자연을 그대로 재현한 것인가 2. 산수를 사랑하는 것인가, 산수화를 사랑하는 것인가 산수화 사랑의 조건|산수화 걸작의 효과 3. 산수미에 이론이? 산수화와 산수미|산수화와 산수미 이론 4. 그려진 산수미의 효과 국가 이데올로기의 상징: 곽희와 거비파 산수화|소외된 벗들과의 소통의 매체: 송적과 평원산수화|나를 표현하는 길들인 산수: 이공린과 소유지 산수화 5. 가장 아름다운 산수의 정치학: 조선의 팔경도 가장 아름다운 산수, 팔경(八景)의 의미|왕경(王京)과 팔경도|사시팔경도와 통치 이데올로기|경화거족의 산수, 한강 변 별장과 산수화|사림파의 향촌원림과 팔경도 6. 산수미의 구성: 청량산에서 금강산으로 불교의 성지 금강산, 성리학의 성지 청량산|숭불과 숭유의 충돌, 그리고 영남의 산수|영남 사림의 청량산과 〈도산도〉|장동 김씨의 외포(外圃) 조성과 금강산 유람|시의 오묘함은 산수와 상통한다: 청량산에서 금강산으로 7. 산수화가 만든 세계 금강산 그림과 ‘속되고 악한’ 금강산 유람|청풍계 그림과 장동 김씨|장동팔경과 새로운 한양의 산수미|한도십영에서 국도팔영으로: 남산에서 인왕산으로|〈인왕제색도〉와 인왕산 epilogue 감사의 글 주 참고 문헌 그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