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1장. 전세 제도 기초 다지기 우리나라에만 있는 전세 제도 15 그 허점과 위험성 15 미리 알아두면 좋은 부동산 상식용어 17 2장 2장. 전세 사기 이렇게 친다! 세간을 강타한 전세 사기의 유형 27 우리 집이 깡통이라고?! - 깡통전세 사기 27 이 집이 전세가 아니었다고?! - 이중/중복계약 사기 29 집주인이 임대인이 아니라고?! - 신탁부동산 전세 사기 31 우리 집이 주택이 아니라고?! – 위반건축물 전세 사기 33 한집에 보증금이 이렇게 많다고?! - 다가구주택 전세 사기 35 우리 집주인은 도대체 누구야?! - 동시 진행 사기 37 3장. 전세 사기 예방하는 단계별 꿀팁 1단계: 집을 보러 다닐 때 확인할 내용 43 집에 관해 확인해야 할 것들 43 위반건축물은 무조건 거르기 | 신탁부동산은 가급적 피하기 | 다가구주택의 경우 선순위 임차보증금을 반드시 확인하기 | 부동산전부증명서를 통해 집의 권리관계 확인하기 | 시세 확인을 철저히 하기 |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집인지 확인하기 집주인에 관해 확인해야 할 것들 60 집주인이 누구인지 확인하기 |집이 공동소유인지 단독소유인지 확인하기 |세금 체납 중인 집주인과의 계약은 피하기 2단계: 계약서 작성 전 집주인과 협의할 내용 68 권리관계의 변동에 관한 사항 68 계약 종료 후 보증금 즉시 반환 조건 69 임차 주택을 매도할 경우 임차인에 대한 통지의무 70 계약 체결 후 세금 체납 사실 발견 시 계약 해지 및 보증금 반환 조건 72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의 가입 조건 73 옵션 기기에 대한 세부 사항 74 하자 유무 확인 74 수선비용 부담 및 원상복구 기준 사전 협의 75 계약 기간 만료 전 해지할 경우를 대비한 중개수수료의 부담 협의 77 다가구주택의 선순위 임차보증금 확인 요구 및 위반 시 계약 해지 조건 78 3단계: 계약을 체결할 때 확인할 내용 79 등기사항전부증명서를 다시 발급받아 변동 사항 확인하기 79 임대인이 집주인이 맞는지 확인하기 80 대리인과 계약 시 적법한 대리인인지 확인하기 81 소유자에게 임대 의사 확인하기(영상 통화 or 유선 통화) 86 계약서에 기재된 건물 주소와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주소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87 임대인, 임차인, 공인중개사의 인적사항이 기재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88 사전에 협의한 특약사항이 빠짐없이 기재돼 있는지 확인하기 89 계약금 입금 계좌 명의인이 집주인의 이름인지 확인하기 90 부동산 중개수수료 협의하기 91 4단계: 이사 당일 확인할 내용 92 잔금 지급 전 다시 한번 등기사항전부증명서 확인하기 92 다가구주택의 확정일자 부여 현황 확인하기 93 다가구주택의 전입세대확인서 열람 또는 교부 신청하기 94 잔금은 반드시 임대인 명의 계좌로 송금하기 95 공과금 사전 정산이 완료됐는지 확인하기 95 집주인과 사전 협의한 옵션과 수리가 완료됐는지 확인하기 96 전입신고, 확정일자 신청, 주택임대차계약 신고하기 96 5단계: 이사 후 확인할 내용 99 이사 완료 후 중개수수료 지급하기 99 집주인이 보증보험에 가입해주기로 했다면 보증서 사본 요청하기 99 집주인이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가입하기 100 수시로 등기사항전부증명서 발급받아 변동사항 확인하기 100 4장. 보증금을 지키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이란 105 보증보험 가입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107 취급 기관별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 상품의 개요 및 요건 109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전세금안심대출보증 109 SGI서울보증 전세금보장신용보험 111 HF한국주택금융공사 일반전세지킴보증 | 특례전세지킴보증(임차인용) 111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과 관련한 실제 분쟁 사례 113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금안심대출 보증보험에서 특약보증기간만 연장된 사례 113 전세자금대출보증기관에게 전세보증금 반환채권에 대한 질권을 설정해준 경우 117 5장. 내가 전세 사기 피해자라면? 전세 사기를 당했을 때 처리해야 할 우선순위 121 계약 갱신 거절 통지부터 하기 121 갱신 거절 통지 방법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