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주 · Novel
128p
Where to buy
Rating Graph
Avg3.6(38)
Rate
3.6
Average Rating
(38)
2003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한 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이야기에 갇힌 기성 소설의 상투성에서 벗어나 '문학'과 '글쓰기'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문학적 노정을 꾸준히 개척해온 한유주 소설가의 신작 소설집이 문학실험실에서 발간되었다. 한유주의 작품 세계는 익히 알려진 바대로, 한국문학의 미학적 무게추를 감당하는 하나의 선명하고 독특한 아이콘이라 할 만하다. 한유주는 그간 “우리가 살고 있는 이야기 과잉 시대에 그 ‘교묘하게 재단된’ 이야기 자체의 진실성을 정면으로 문제 삼고 있는 소설”이자 “이야기를 거부하면서도 어떻게 소설이 구축될 수 있는지를, 그때 드러나는 소설의 다른 힘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준 소설”(한국일보문학상 선정의 말 중에서)로, 나아가 “거짓 기억과의 싸움, 끝없이 이야기를 지우는 소설 쓰기”(김현문학패 선정의 말 중에서)라는 찬사를 받아오며 말 그대로 그만의 방식의 글쓰기를 통해 한국문학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어 왔다. 그간 자신의 작품에서 여러 번 표명한 대로, 그러한 한유주의 글쓰기의 전략 가운데 하나는 ‘쓰고 지우기의 무한 반복’이었다. 쓴 것이 굳기 전에 지우고, 지운 흔적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다시 쓰는 행위의 반복에서 독자는 무한 분화하는 평행우주로, 소설의 세계가 아닌, 무정형으로 주어진 저릿한 정서를 간직한 채, 독자 내면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이야기를 생성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한유주의 소설에서 이야기는 지워지는 차원이 아니라, 흔적을 받아들이는 이쪽(독자)에서 늘 새롭게 생성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의 문학적 글쓰기와 글 읽기의 새로운 수용 현상은 이번 소설에서 더욱더 배가되며, 거침없이, 먹먹하게 다시 한 번 독자의 지성과 감성 사이를 파고들 것이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Rating Graph
Avg3.6(38)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Author/Translator

Comment

8

Table of Contents

_private barking _개와 걔 _유령 개

Description

한국문학의 선명한 아이콘 한유주 연작소설집 “죽음의, 죽음에 의한, 죽음을 위한 글쓰기” 『숨』 쓰고자 하는 것들의 이름이, 이름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나는 쓰고 지우고 쓰고 지우기 시작했다. 내가 사랑했던 개들은 이미 모두 죽은 뒤였다. 한국문학의 미적 무게추를 감당하는 선명한 아이콘, 한유주의 신작 소설집 2003년 『문학과사회』 신인문학상을 받으며 등단한 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이야기에 갇힌 기성 소설의 상투성에서 벗어나 ‘문학’과 ‘글쓰기’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문학적 노정을 꾸준히 개척해온 한유주 소설가의 신작 소설집이 문학실험실에서 발간되었다. 한유주의 작품 세계는 익히 알려진 바대로, 한국문학의 미학적 무게추를 감당하는 하나의 선명하고 독특한 아이콘이라 할 만하다. 한유주는 그간 “우리가 살고 있는 이야기 과잉 시대에 그 ‘교묘하게 재단된’ 이야기 자체의 진실성을 정면으로 문제 삼고 있는 소설”이자 “이야기를 거부하면서도 어떻게 소설이 구축될 수 있는지를, 그때 드러나는 소설의 다른 힘이 어떤 것인지를 보여준 소설”(한국일보문학상 선정의 말 중에서)로, 나아가 “거짓 기억과의 싸움, 끝없이 이야기를 지우는 소설 쓰기”(김현문학패 선정의 말 중에서)라는 찬사를 받아오며 말 그대로 그만의 방식의 글쓰기를 통해 한국문학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넣어 왔다. 그간 자신의 작품에서 여러 번 표명한 대로, 그러한 한유주의 글쓰기의 전략 가운데 하나는 ‘쓰고 지우기의 무한 반복’이었다. 쓴 것이 굳기 전에 지우고, 지운 흔적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에 다시 쓰는 행위의 반복에서 독자는 무한 분화하는 평행우주로, 소설의 세계가 아닌, 무정형으로 주어진 저릿한 정서를 간직한 채, 독자 내면의 세계에서 저마다의 이야기를 생성해낼 수 있었다. 따라서 한유주의 소설에서 이야기는 지워지는 차원이 아니라, 흔적을 받아들이는 이쪽(독자)에서 늘 새롭게 생성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원의 문학적 글쓰기와 글 읽기의 새로운 수용 현상은 이번 소설에서 더욱더 배가되며, 거침없이, 먹먹하게 다시 한 번 독자의 지성과 감성 사이를 파고들 것이다. 죽음의, 죽음에 의한, 죽음을 위한 글쓰기 한유주의 신작 연작소설집 『숨』은 흥미로운 텍스트다. 난해성과는 거리가 먼 깊은 서정이 있으며, 무엇보다 글을 읽는 재미가 있다. 세 편의 연작 소설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죽음’과 ‘개’이다. 죽은 개의 삶에는 무슨 의미가 있었는가? 개는 왜 짓는가? 삶의 근원적 허구성과 무의미를 깊이 응시해온 한유주가 이제 죽음을 정면으로 응시한다. 친구의 죽음으로부터 개의 죽음에 이르는, 죽음에 관한 두서없는 파편적 기억과 상념들, 그리고 은밀한 자살의 몽상이 뒤얽혀 있는 이 소설은 끊임없이 죽음으로 환원되는 인간 삶의 모든 순간을 하염없이 증언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그 의미를 알지 못하는 개의 삶과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런데 개는 왜 짓는가? 이 물음은 왜 나는 말하는가, 왜 소설을 쓰는가라는 질문과 겹쳐진다. 그는 마침표와 함께 매 순간 무(無)의 나락 앞에 서는 문장들을 힘겹게 이어간다. 말 그대로, 필사적으로! 어떻게든 의미를 찾기 위해서가 아니다. 차라리, 그냥 죽음을 살아가기 위해서다. 그의 소설 속에서 말은 한 마디 한 마디가 죽음으로 가는 과정의 1/n이다. 그래서 그저 숨 쉬는 것에 불과한 글쓰기는 곧 죽음의 과정 자체가 된다. 무의미만의 공간을 건축하는 숨결로서의 언어 문장을 이어간다는 것은 문장과 문장 사이의 관계를 (그것이 아무리 불합리할지라도) 이어간다는 뜻이다. 마치 무의미하고 불합리한 인간 사이의 관계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어가듯이. 이때 놀라운 점은, 그 과정에서 개가 ‘짓음’으로써 표현하는 개만의 그 무엇처럼 인간의 가장 원초적인 그 무엇이 나지막하게 스며 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그것을 본능적 혹은 본성적 감정이라 부를 수 있을까? 그중에서도 허탈한 사랑이나 연민의 감정이 우리를 적실 때, 그의 소설은 하나의 역설이 된다. 그래도 어쨌든 살아보고 싶다는 역설!

Collections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