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제1부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 1장 윤보선의 인권의식과 신부적(神賦的) 국가관_김정회 1. 서론 2. 유신체제와 윤보선의 저항 3. 윤보선의 인권의식 4. 윤보선의 신부적 국가관 5. 결론: 신부적 국가관의 의미 2장 민주화운동에서 공덕귀의 역할_김명구 1. 서론 2. 공덕귀 저항의 시대 상황 3. 공덕귀의 구속자가족협의회 회장 활동: 인권과 민주화의 문제 4. 공덕귀와 세계 기독교계 5. 공덕귀의 사상 6. 결론 3장 유신헌법 작성과 유신헌법 반대운동_서희경 1. 서론 2. 1972년 유신헌법의 정치적 배경 3. 10월 유신과 유신헌법 마련 4. 유신헌법 반대운동과 긴급조치 5. 1978년 12·12총선과 유신체제 붕괴 6. 결론: 유신헌법 반대의 헌정사적 의미 4장 유신체제의 정당과 선거_윤왕희 1. 서론 2. 기존 연구와 새로운 시각 3. 유신의 탈정치적·반정당적 유산 4. 유신체제의 정당 5. 1978년 제10대 총선과 유신체제 붕괴 6. 결론: 유신체제의 현재적 의미 5장 한미관계 변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정일준 1. 서론: 한미관계에서 권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2. 유신체제 붕괴 연구의 쟁점 3. 권력과 유신체제: 한미관계의 권력분석학 4. 유신체제와 한미갈등의 전개: 내정간섭인가, 국제규범인가 5. 결론: 권력관계로 본 10·26사건 제2부 민청학련 항쟁 재조명 6장 민청학련 항쟁의 전개와 역사적 의의_안병욱 1. 서론 2. 민청학련의 출범 3. 유신독재체제와 계엄통치 4. 국가 폭력에 의한 고문 학살 5. 결론: 민청학련 항쟁의 의의 7장 민청학련 사건과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_황병주 1. 서론 2. 유신체제 성립과 민청학련 사건 3. 재야 민주화운동세력의 형성: 윤보선을 중심으로 4. 결론: 재야 민주화운동에서 민청학련 사건의 의의 8장 한국기독교와 민청학련 사건_손승호 1. 서론 2. 민청학련 조직과 기독교의 참여 3. 사건화 이후 기독교의 대응 4. 결론: 기독교 민주화운동에서 민청학련 사건의 의의 부록 회고, 1970년대 민주화운동과 유신체제의 붕괴_김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