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신 앞에 홀로 서기 | 4
Ⅰ. 기독교적 영웅주의와 죽음에 이르는 병
1. 저자와 저자명 | 15
2. 부제목과 모토로 선택된 글귀가 전하는 메시지 | 19
3. 첫 번째 문단 속의 ‘논술’과 ‘교화’의 의미 | 25
4. 기독교적 영웅주의 | 30
5. 변증법적 절망과 죽음 속의 구원 | 35
6. 죽음에 이르는 병과 죽음에 이르지 않는 병 | 40
II. 절망의 보편성에 대한 변호
1. 죽음에 이르는 병은 절망이다 | 47
2. 종합을 이루게 하는 정신의 역할 | 52
3. 가능성의 기회로서 절망에 대한 변증법적 이해 | 57
4. 보편성의 의미로서의 병, 그리고 정신 병으로서 절망 | 62
5. 역설도 과정도 아닌 철학으로서 정신을 가다듬게 하는 철학 | 68
6. 절망하고 산 삶을 깨닫는다는 것 | 73
III. 유한한 현실성 대 무한한 가능성
1. 개념적으로 구성되는 자기라는 자유의 형식 | 81
2. 의식과 자기 그리고 의지의 돌고 도는 정비례 관계 | 86
3. 무한성과 유한성의 구체적인 종합으로서의 자기 | 91
4. 가능성의 결핍에 의한 유한성의 절망 | 96
5. 필연성의 결핍에 의한 가능성의 절망 | 101
6. 가능성의 결핍에 기인하는 또 다른 절망으로서 필연성의 절망 | 105
IV. 의식적인 절망과 절망의 기술
1. 사람은 절대적인 존재가 될 수 있다는 말의 의미 | 113
2. 진리가 사람이라는 논리 | 117
3. 무지에 기인한 가장 위험한 형태로서의 절망 | 121
4. 구원에 이르게 하는 의식적인 절망 | 127
5. 자기 자신이기를 거부하는 약함의 절망 | 132
6. 절망할 때 잃어버리는 것은 영원한 것 | 136
7. 자기 자신이라는 자기 집의 비유 | 140
V. 약한 절망과 강한 절망
1. 현실로부터의 도피 | 147
2. 틀어박혀 있는 사람의 위험과 자살 | 152
3. 역전과 반항의 가능성 | 156
4. 무한한 자기를 얻기 위해 무한한 자기를 잃을 용기 | 160
5. 자기 자신에 대한 비유로서 프로메테우스 | 165
6. 절대적인 지배자라 불리는 국토 없는 국왕 | 170
7. 정정을 거부하는 광기어린 반항 | 174
VI. 죄의 속성으로서의 절망
1. 신 앞에서 절망하는 죄 | 181
2. ‘신 앞에서’라는 규정이 허락하는 자기의식 | 186
3. 단독적 자기에서 무한의 자기로 | 191
4. 신앙의 정의에 대하여 | 195
5. 죄의 반대로서 신앙 | 200
6. 죄와 신앙이라는 대립의 조건 | 205
7. 인간의 목표로서 그리스도 | 209
VII. 무지의 논리와 죄의 실존적 의미
1.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시작 지점을 형성해 주는 무지와 죄의 관계 | 215
2. 소크라테스를 끌어들인 키르케고르의 의도 | 221
3. 인식과 의지의 상호 관계 속의 모순 | 225
4. 세계가 필요로 해야 할 소크라테스라는 단 한 사람 | 230
5. 죄와 방황의 공통점 | 235
6. 윤리적 교정을 거친 소크라테스적 윤리 | 240
VIII. 죄는 적극적이라는 말
1. 창조적 반항으로서의 죄 | 247
2. 부정의 부정으로서의 회개 | 252
3. 기독교적인 것만 주목하는 철학자의 고집 | 256
4. 다시 꺼내 드는 소크라테스적 무지 | 260
5. 절망과 함께 강해지는 자기의식 | 265
6. 자기 자신에 대한 거역 | 269
7. 사랑하는 자로서의 목사 | 273
IX. 연속되는 죄와 함께
1. 새로운 죄에 대한 인식 | 279
2. 영원한 본질적 연속성 대 죄의 연속성 | 284
3. 소극적인 죄 대 적극적인 죄 | 291
4. 신을 아는 존재의 무한한 가능성 | 297
5. ‘신=사람’이라는 위대한 공식의 발견 | 301
6. 인생이라는 달리는 기차 | 305
X. 죄인이 되어 죄에서 구원하기
1. 기독교적 신앙에 대한 철학자의 대답 | 311
2. 죄를 전술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 315
3. 신에게 가까이 가는 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