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책방 <풀무질>을 아시나요? 대학로 성균관대학교 앞에는 벌써 이십 년 가까이 문을 열고 있는 작은 책방이 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인문사회과학 서점 <풀무질>이 바로 그곳이다. 하루가 멀다 하고 중소 서점들이 문을 닫는데도 이 서점이 지금까지 운영될 수 있는 것은 모두, ‘사장’이 아니라 ‘일꾼’으로 살고 있는 은종복 씨 때문이다. 숨어 있는 좋은 책(잘 팔리는 책이 아니다!)을 골라 잘 보이는 자리에 놓아두고 그 책을 열심히 권했다. 새내기들이 꼭 읽었으면 싶은 책, 전쟁의 시대에 평화의 뜻을 새기기에 좋을 책, 생태맹을 각성시킬 수 있는 책 등 권하는 목록도 다양하다. 큰 서점에서라면 가장 잘 보이는 자리에 놓여 있을 베스트셀러들은 <풀무질>에서는 홀대받기 일쑤다. 그러니 장사가 잘 되는 책방이 아니라 믿음이 가는 책방이 될 수 있었고, 돈 잘 버는 책방 주인이 아니라 손님들과 온갖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책방 일꾼이 될 수 있었다. 손님 가운데는 지금의 책방으로 옮기기 전, 좁고 어두웠던 예전 <풀무질>을 기억하는 이들도 많다. 좁았지만 무척이나 소중했던 공간이었다고 그리워한다. 책방도 좀 넓히고 임대료도 아끼기 위해 지하 책방으로 이사하던 날은 성균관대학교 학생들이 무시로 들러 이삿짐을 날랐다. 책방에서만 쓰이는 화폐가 따로 있는가 하면, 십만 원쯤 아예 책방에 돈을 맡겨 두고 보고 싶은 책을 주문해 두었다가 일부러 들러 사 가는 손님이 있고, 대학로 가까이에 살지 않는데도 굳이 <풀무질>까지 와서 그 흔한 할인도 되지 않는 책을 사는 손님들이 있다. 이런 손님들이 있어 책방 <풀무질>은 앞으로도 이십 년, 삼십 년 굳건할 것이다. 세상을 풀무질하는 남자, 은종복 저자 은종복은 자신의 모교 앞에 책방을 꾸리고 그곳 <풀무질>에서 책만이 아니라 평화와 희망, 새로운 삶을 퍼트리는 전도사로 살고 있다. 2003년부터는 한 달에 한두 번씩, 책방 손님들에게 글을 나누어 주기 시작했다.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바라는 마음도 담았고, 아이 형근이를 대안초등학교에 보내면서 겪은 이야기도 들어 있었고, 책방 일을 도와주시는 아버지와 형에 대한 이야기도 있었다. 무엇보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에 관한 이야기를 많이 적었다. 그렇게 써 오기 시작한 쪽지 글이 이제 한 권의 책으로 묶였다. 그동안 책 내라는 사람도 많았고, 넌지시 출판 의향을 물어 오는 곳도 있었다. 하지만 때가 아니다 싶기도 했고, 그때그때 생각을 쓴 것인데 굳이 책으로까지 펴내야 하는가 싶기도 했다. 그러다 <풀무질> 열일곱 돌을 맞아 작은 기념물이라도 남기자 결심하게 됐다. 더 많은 사람들과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되기를 바랐다. 책방 손님과 일꾼이 함께 만든 책 <풀무질>은 책방이면서 동시에 책방이 아니다. 공부방을 찾아 기웃대다 책방에 들른 성균관대학교 학생들에게는 세미나실이, 자료를 찾아보다 지친 대학원생에게는 짧은 낮잠을 허락하는 휴식 공간이, 길을 찾아 헤매는 이들에게는 ‘이런 삶은 어때?’ ‘이런 걸 같이 고민해 보면 좋겠어!’ 하고 제안하는 길라잡이 공간이 된다. 때로는 힘든 집안일을 털어놓는 상담소이기도 하고, 엄마가 회사에서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아이의 놀이터일 때도 있다. 손님들에게 책방 <풀무질>은 바로 그런 곳이다. 십 년 넘은 단골이 있는가 하면, <풀무질>을 만난 지 얼마 안 된 손님도 있다. <풀무질>을 아끼고 사랑한다는 마음 하나는 똑같다. 이 책을 위해 스물한 사람의 손님이 글을 보탰다. 글에는 책방과 인연을 맺게 된 까닭이며 <풀무질>에 자꾸만 오게 되는 까닭, ‘은종복 형’ ‘종복이 아저씨!’라 부르면서 마음을 나눈 시간들이 담겨 있다. 책 표지와 날개에 실은 책방 사진을 찍어 준 이도 <풀무질>을 아끼는 손님의 솜씨다. 그래서 이 책은 <풀무질> 일꾼 은종복 개인의 것이기도 하지만, ‘우리 모두’의 것이기도 하다. 4월 1일, <풀무질> 열일곱 돌잔치에 초대합니다 일꾼 은종복이 <풀무질>을 맡아 꾸린 지 열일곱 돌잔치와 『풀무질, 세상을 벼리다』 책을 펴낸 축하 자리를 함께 엽니다. 책에 글을 실은 책방 단골손님들은 물론, 책방이 있는 혜화동 이웃, 은종복 님의 아이가 다니는 <제천간디학교> 분들, 은종복 님이 후원하고 있는 생태·평화·나눔의 시민단체 사람들도 올 예정입니다. 많이들 오셔서 축하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날짜: 2010년 4월 1일 ● 시간: 오후 7시부터 (책방에서 갖는 행사는 한 시간 정도. 그 다음부터는 뒤풀이입니다.) ● 장소: 성균관대학교 앞 책방 <풀무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