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Translator

Table of Contents

서문: 건축의 본질에 대한 손과 눈 머리말: 20세기의 공간 구성을 해석한다 1. 균질 공간에의 과정 기능과 형태를 1대1로 대응시킬 것인가? 다수와 하나로 대응시킬 것인가? 2. 균질 공간 Mies가 최종적으로 도달한 것은 「수평 슬래브의 공간」 3. 균질 공간으로부터의 이탈 균질한 「수평 슬래브 공간」의 분절화 4. 공간 단위의 분리 「수평 슬래브 공간」의 해체로부터 「공간단위 = 구조단위」의 생성으로 5. 공간 단위의 분리 분해한 공간 단위는 중심에 따라 통합해 나간다 6. 단핵 플랜과 복핵 플랜 Wright가 해체한 중심을 칸이 부활한다 7. 구심적 구성과 편심적 구성(1) 구심적인 공간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과 균질한 가운데에 편차를 주는 방법 8. 구심적 구성과 편심적 구성(2) Aalto는 선형을 귀퉁이에 배치하고. Kahn은 정사각형을 중앙에 배치 하고있다 9. 기능적 배열과 형식적 배열 Corbusier의 톱다운구성과. Kahn의 바텀 업 구성 10. 규칙적 연결과 불규칙적인 중첩 분절시키면서 균질적으로 연결하는 구성과 불규칙적으로 코너를 중첩하는 구성 11. 이중피막 구성 환경을 조절하고. 입면에 깊이를 깊숙하게 만드는 이중피막 12. 유리의 극장과 벽의 극장 「벽 공간」과 「수평 유리 공간」에 크기의 차례대로 포개어 안에 넣을 수 있게 만든 구성 13. 대구조물 공간 Corbusier는 지붕을 매달고. Kahn은 바닥을 매달았다 14. 수직 샤프트를 이용한 구성 네귀퉁이에 코어를 두는 구성은 Wright가 시작하고. Kahn이 전개하였다 15. 지붕을 이용한 공간 구성 프레임 구조가 다시 한번 쓰이게 된다 16. Louis Ⅰ. Kahn의 구성 변천 근대 건축구성 →공간 단위의 분리 →중심에 따른 통합 →구성의 다양화 구성의 힘 - LouisⅠ. Kahn 공간구성의 비교분석 맺음말 - 설계 자료의 반려로서